학술논문
국내 통합교육 연구 문헌분석
이용수 391
- 영문명
- A Literature Review of Domestic Inclusive Education Research: Focusing on inclusive education awareness, attitude, support and operation status
- 발행기관
- 한국통합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통합교육연구』제17권 제1호, 163~19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5.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통합교육 관련 당사자 및 관계자의 인식과 태도, 지원 및 운영 실태에 주안점을 두고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 총 72편의 전반적 동향(연도별, 연구대상별, 장애 영역별, 학교급별, 연구주제별)을 빈도로 살펴보고, 나아가 연구주제는 핵심주제어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시행 직후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고, 연평균 5편 정도 꾸준히 연구되었다. 둘째, 연구방법은 양적연구와 질적연구로 비교적 균형 있게 이루어졌다. 셋째, 대상자는 교사, 학부모, 학생, 관리자의 순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넷째, 장애영역은 지적장애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다섯째, 학교급은 주로 초등에서 이루어졌고, 상급학교로 올라갈수록 연구가 적었다. 끝으로, 주제별로는 4가지 대주제, 14가지 세부주제, 49개의 키워드로 나타났는데,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지원에 대한 대주제에서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통합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고 후속연구를 위해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search trends, focusing on the perceptions, attitudes, support and operation status of domestic inclusive education. The overall trends (by year, research subject, disability category, school level, research topic) of a total of 72 previous studies were examined, and further, research topics were analyzed based on key themes. As a result, first, the most studies were conducted immediately after the enforcement of the Act On Special Educ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an average of 5 studies per year were consistently conducted. Second, the research method was relatively balanced, wi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Third, the subjects were studied in the order of teachers, parents, students, and administrators. Fourth, in the categories of disability, the most studies on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found. Fifth, the school level was mainly conducted in elementary school, and there was less research at the upper secondary level. Finally, by research topic, 4 major topics, 14 sub-topics, and 49 keywords were found, and the most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main topic of perception and support for inclusive education. Based on the main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domestic inclusive educat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긍정적행동지원, 학급긍정훈육법, 회복적생활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비교
- 특수교육대상학생에 대한 A고교학점제 선도학교 일반교사의 경험과 인식
- 국내 통합교육 연구 문헌분석
- 블렌디드 러닝 설계원리에 기반한 개별화된 긍정적 행동 지원이 중도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수업 방해 행동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 특수교사의 사회과 교육 실태 및 인식
- 신경다양성 개념을 적용한 통합교육 실행연구
- 통합학급 운영을 위한 유아특수교사와 보육교사의 협력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특수교사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연구동향
- 정다운 학교에서 협력교수를 실행한 초등 특수교사와 통합학급교사의 경험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