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블렌디드 러닝 설계원리에 기반한 개별화된 긍정적 행동 지원이 중도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수업 방해 행동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117

영문명
The effect of individualized positive behavior support based on design principles of blended learning on classroom disruptive behavior of elementary student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y
발행기관
한국통합교육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통합교육연구』제17권 제1호, 53~8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5.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통합교육 상황에서 수업 방해 행동 문제를 보이는 2명의 중도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행동 변화를 살펴보고자 실시하였다. 온·오프라인의 블렌디드 러닝 설계원리에 기반하여 개별화된 긍정적 행동 지원을 한 후 수업 방해 행동의 변화와 행동 유지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업 방해 행동 지원을 위한 실험 설계는 3개 교과 시간을 관찰하는 상황 간 중다(복수) 기초선 설계를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블렌디드 러닝 설계원리 기반 개별화된 긍정적 행동 지원은 중도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수업 방해 행동의 평균, 중재 후 즉각성, 회기 간 평균의 일관된 감소와 기초선 기간과 중재 간의 비중복비율 100%, 개선율 차이 100%, 중재 종료 후 유지효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블렌디드 러닝 설계원리 중 기술적 지원과 심리적 지원 등의 원리가 아동의 긍정적 행동 지원 중재에 필요한 수업 설계원리로 적용되었음을 방증하며, 아동의 과제 회피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추론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개별적인 행동 문제를 지원하는데도 블렌디드 러닝 설계원리가 유용할 수 있다는 점에 대해 논의하고 후속적인 발전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observed behavioral change of 2 elementary student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y, who showed classroom disruptive behavior during inclusive class. It aimed to learn the change and maintenance of classroom disruptive behavior after individualized positive behavior support based on design principles of blended learning, both online and offline. The experiment for classroom disruptive behavior support applied multiple baseline design, where 3 class sessions of different subjects are observe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individualized positive behavior support based on design principles of blended learning consistently decreased the average rate of classroom disruptive behavior of elementary student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y, the immediacy after intervention and the average rate between sessions. Also, it showed 100% Nonoverlaping Date Points between basic line and intervention, 100% Improvement Rate Difference and maintenance effect after the intervention is finished. These results prove that some of the design principles of BL classes, such as technical support and psychological support, have been applied as necessary class design principles for positive behavior support for children. Moreover, it can be inferred that they have positively affected students’ task avoidance behavior. Based on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study discusses the usefulness of design principles of blended learning in individualized behavior support and suggests further developmental measures.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블렌디드 러닝 설계원리에 기반한 개별화된 긍정적 행동 지원이 중도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수업 방해 행동에 미치는 효과. 통합교육연구, 17 (1), 53-80

MLA

. "블렌디드 러닝 설계원리에 기반한 개별화된 긍정적 행동 지원이 중도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수업 방해 행동에 미치는 효과." 통합교육연구, 17.1(2022): 53-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