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합학급 운영을 위한 유아특수교사와 보육교사의 협력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이용수 263
- 영문명
- A Qualitative Study on Collaborative Experience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Day Care Center Teachers for Implementation of Inclusive Classroom
- 발행기관
- 한국통합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통합교육연구』제17권 제1호, 137~16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5.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학급 운영에 나타난 유아특수교사와 보육교사의 협력 경험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장애아통합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특수교사 3인과 보육교사 3인으로 구성된 총 6인의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수행하였다. 수집된 면담 자료는 연속적 비교법의 단계를 따라 분석하여 3개의 상위 범주, 10개의 하위 범주, 31개의 주요 내용이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간 협력은 객관적이고 신뢰로운 유아 관찰과 교사 간 전문지식 및 정보교환이 가능하도록 하여 개별 유아의 발달수준에 따른 적합한 교육지원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교사 간 협력 정도는 기관 관리자의 특수교육 이해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셋째, 통합학급 내 교사 간 성공적인 협력을 위해서는 소통에 기초한 친밀한 공적 관계 형성이 필요하였다. 넷째, 통합학급 내 교사 간 성공적인 협력을 위해서는 업무 분담과 교사-아동 비율 조정 등 행정적 지원이 필요하였다. 다섯째, 통합학급 내 교사 간 성공적인 협력을 위해서는 개별화교육계획(IEP)에 대한 원활한 공유가 필요하였다. 여섯째, 통합학급 내 유아특수교사와 보육교사는 서로 협력하는 과정에서 학급 교사로서 책임감을 공유하며 ‘우리는 하나’라고 인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장애아 통합어린이집에서 통합학급 운영을 위한 유아특수교사와 보육교사의 성공적인 협력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operative experiences betwee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child care center teachers in the implementation of inclusive classroom.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 total of 6 participants consisting of 3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3 child care center teachers working at an inclusive daycare center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collected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teps of the continuous comparison method, and 3 upper categories, 10 lower categories, and 31 main contents were deriv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operation between teachers has the advantage of enabling objective and reliable early childhood observation and exchange of expertise and information between teachers, thereby providing appropriate educational support according to the level of development of individual infants. Second, the degree of cooperation between teachers may vary depending on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special education by institutional managers. Third, for successful cooperation between teachers, it was necessary to form an intimate public relationship based on communication. Fourth, for successful cooperation between teachers, administrative support such as division of work and adjustment of teacher-child ratio was required. Fifth, for successful cooperation between teachers, smooth sharing of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IEP) was necessary. Sixth,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child care center teachers shared responsibilities as classroom teachers in the process of cooperating with each other and recognized that ‘we were on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presented basic data to establish a direction or guidelines for successful cooper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child care center teachers for the implementation of inclusive classrooms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긍정적행동지원, 학급긍정훈육법, 회복적생활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비교
- 특수교육대상학생에 대한 A고교학점제 선도학교 일반교사의 경험과 인식
- 국내 통합교육 연구 문헌분석
- 블렌디드 러닝 설계원리에 기반한 개별화된 긍정적 행동 지원이 중도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수업 방해 행동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 특수교사의 사회과 교육 실태 및 인식
- 신경다양성 개념을 적용한 통합교육 실행연구
- 통합학급 운영을 위한 유아특수교사와 보육교사의 협력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특수교사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연구동향
- 정다운 학교에서 협력교수를 실행한 초등 특수교사와 통합학급교사의 경험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