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誠과 敬: 성리학의 종교적 측면
이용수 158
- 영문명
- The Religious Aspect of Neo-Confucianism: Sincerity and Reverence
- 발행기관
- 한국도덕교육학회
- 저자명
- 진영석(Young-Seok Jin)
- 간행물 정보
-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34권 제1호, 1~2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성리학은, 선진 유학과 달리, 하나의 이론체계를 갖추고 있고, 그 점에서 때로는 종교나 종교적인 것과 거리가 먼 것으로 간주되기도 하지만, 선진 유학과 다름없이, 뚜렷한 종교성을 지니고 있다. 종교의 기본적 의미를 ‘절대자에 대한 신앙’ 또는 ‘절대적인 것에 대한 전인격적 헌신’에서 찾을 수 있다면, ‘종교적 성격’이나 ‘종교적 측면’이라는 말은, 선진 유학의 ‘하늘’(天)이나 태극(太極)과 관련해서는 물론이요, 그것들에 들어 있는 문제의식을 이어받은 성리학의 理와 관련해서도 충분히 성립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성리학에서의 誠과 敬은 특히 「주역」에 나오는, 占을 통한 수양과 그것의 의미에 관한 설명을 새로운 이론체계에 비추어 재해석한 결과에 해당하며, 성리학 전체를 교육의 관점에서 요약하여 보여준다. 각각 ‘자신 안의 理에 충실한 태도’와 ‘세계 안의 理를 경외하는 태도’를 뜻하는 범인의 성과 경은 절대적인 것으로서의 理에 대한 전인격적 헌신을 나타내며, 이 양자는 서로 안팎을 이루면서 범인을 성인의 경지로 이끈다. 성리학의 종교적 성격을 드러내는 성과 경의 개념은, 교육다운 교육에는 종교적 측면이 있다는 점, 나아가 교육을 설명하는 교육이론 또한 그것을 공부하는 당사자의 종교적 태도를 요구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게다가 성과 경의 개념은, 도덕다운 도덕에는 종교적 측면이 있다는 사실에도 주목하게 하며, 그리하여 결국 그 두 개념을 중심으로 하는 성리학은, 교육의 이론은 삶 전체를 다루는 이론이라는 사실을 일깨워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ere seems to be no doubt that Neo-Confucianism, not unlike classical Confucianism, might be described as having a religious character, when religion is taken to require the total commitment of a person to the Absolute. Neo-Confucianist ideas of sincerity(cheng, 誠) and reverence(jing, 敬) which can be said to have their origin in the divination of the Book of Changes, mark the culmination of Neo-Confucianism and make education or self-cultivation the central theme of Neo-Confucianism. Through their origin, the concepts of sincerity and reverence bring us to the recognition of the religious aspect of Neo-Confucianism. Sincerity can be defined as a truthful attitude to the Principle(li, 理) inside oneself, and reverence can be defined as an awful attitude to the Principle outside oneself. The Principle, in both cases, is equivalent to Heaven(tian, 天) or the Great Ultimate(taiji, 太極) which appears in classical Confucianism. In an effort to preserve the attitudes of sincerity and reverence, one’s total commitment to the Principle is required, and the effort leads the ordinary human being to the sage. These two attitudes should be maintained not only in everyday life, but also in studying the Neo-Confucianist theory of education, which directs our attention to the idea that studying the educational theory is itself a part of self-cultivation. In brief, the concepts of sincerity and reverence show that true education or true educational theory has a religious aspect in it. Moreover, in Neo-Confucianism, sincerity and reverence are the sources of all moral virtues, and so, morality is inseparable from religion.
목차
Ⅰ. 서론
Ⅱ. 「주역」과 성리학
Ⅲ. 성리학과 성·경
Ⅳ. 성과 경의 종교적 측면
Ⅴ. 결론: 도덕과 종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 내용과 선(善)의 관계: ‘테크네’의 개념을 중심으로
- 誠과 敬: 성리학의 종교적 측면
- 포스트휴머니즘과 배려윤리 교육
- 은유와 전달: 개념전달과 이념전달
- ‘心術’로서의 정치: 쉴러의 정치철학
- 국가에서의 철학자-군주의 역할
- 교사의 전문성에 관한 거시적 논의와 미시적 논의
- 마르틴 부버 「나와 너」의 교육학적 해석
- 쉴러 「인간의 심성교육」의 수사와 교육학적 함의
- 민주시민교육에서 필리아의 의미
- 인공지능과 도덕적 책임에 관한 고찰
- 「능엄경」 불교인식론의 교육학적 고찰: 메타프락시스적 인식론 서설
- 스피노자 「윤리학」에서의 신의 개념: 메타프락시스적 관점
- 내러티브의 종교적 차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