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가에서의 철학자-군주의 역할
이용수 129
- 영문명
- The Role of the Philosopher-King in the State
- 발행기관
- 한국도덕교육학회
- 저자명
- 이호찬(Ho-Chan Lee)
- 간행물 정보
-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34권 제1호, 87~115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국가론」에서 ‘철학자-군주’는 ‘철학자’가 통치자가 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나타낸다. 이 주장의 근거는 철학자가, ‘좋은 것의 형식’이라는, 이 세상 전체를 포괄하는 절대적 기준을 갖춘 사람이라는 데에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좋은 것의 형식’이라는 주장은이 세상을 초월하여 존재하는 것을 주장하는 것이며, 혹시 그런 것이 있다고 해도 알수 있는 것이 아니라고 비판을 가한다. 그러나 플라톤이 ‘좋은 것의 형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드는 세 개의 비유—태양, 선분, 동굴—는 ‘좋은 것의 형식’이 교육을 받은 결과 가지게 되는 마음임을 보여준다.
메타프락시스는 심성함양을 설명하는 담론 형식으로서, 중층구조, 순환론, 당사자적 자세라는 세 가지 의미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중층구조와 순환론은 ‘좋은 것의 형식’과 같은 절대적 기준이 현상 세계와 동일한 것은 아니지만 무관한 것도 아니라는 것, 뿐만 아니라 교육, 정치, 종교의 ‘매체’를 통하여 그 절대적 기준을 갖추게 된다는 것을 이성적으로 설명함으로써 아리스토텔레스의 비판에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된다. 특히 「국가론」에서의 ‘철저히 정의로운 사람’이나 메타프락시스의 ‘당사자적 자세’는 올바르게 교육받은 사람, 참된 정치가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그리하여 「국가론」과 메타프락시스는 교육과 정치의 목적, 그리고 그 양자의 관계, 나아가 우리 자신의 삶을 돌아보게 한다.
영문 초록
In The Republic, the ‘philosopher-king’ represents the concept that the ‘philosopher’ should be the ruler. The philosopher is a person who has the knowledge of the absolute standard that rules the whole world, ‘the Form of the Good’. Aristoteles criticizes the Form of the Good since it asserts that it exists beyond this world, and that even if there is such a thing, it is not possible to know. However, Plato shows through the three consecutive metaphors—the Sun, the Line, and the Cave—that the Form of Good is only in the mind of well-educated philosopher.
Metapraxis is a form of discourse that explains the cultivation of the mind by means of three semantic elements: the double-layered structure, the circularity, and the personal involvement. The elements of the double-layered structure and the circularity provide an answer to Aristotle s criticism by maintaining that the Form of Good is not the same kind of standard as those of the world of phenomena, but it is also not irrelevant. The element of the personal involvement of Metapraxis defines the attitude of a properly educated person and a true politician. Thus, The Republic turns our eyes to the purpose of education and politic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목차
Ⅰ. 서론
Ⅱ. ‘좋은 것의 형식’과 아리스토텔레스의 비판
Ⅲ. ‘좋은 것의 형식’에 관한 세 개의 비유와 메타프락시스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 내용과 선(善)의 관계: ‘테크네’의 개념을 중심으로
- 誠과 敬: 성리학의 종교적 측면
- 포스트휴머니즘과 배려윤리 교육
- 은유와 전달: 개념전달과 이념전달
- ‘心術’로서의 정치: 쉴러의 정치철학
- 국가에서의 철학자-군주의 역할
- 교사의 전문성에 관한 거시적 논의와 미시적 논의
- 마르틴 부버 「나와 너」의 교육학적 해석
- 쉴러 「인간의 심성교육」의 수사와 교육학적 함의
- 민주시민교육에서 필리아의 의미
- 인공지능과 도덕적 책임에 관한 고찰
- 「능엄경」 불교인식론의 교육학적 고찰: 메타프락시스적 인식론 서설
- 스피노자 「윤리학」에서의 신의 개념: 메타프락시스적 관점
- 내러티브의 종교적 차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