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육 내용과 선(善)의 관계: ‘테크네’의 개념을 중심으로
이용수 163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Educational Contents and the Good: In the Light on the Concept of ‘Techne’
- 발행기관
- 한국도덕교육학회
- 저자명
- 홍윤경(Yun Kyung Hong)
- 간행물 정보
-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34권 제1호, 117~13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테크네’(techne)의 개념에 관한 고찰을 통하여 교육 내용과 선의 관계를 밝히는 것에 있다. ‘테크네’는 고대 그리스인들에게 특수한 지식에 토대를 둔 전문 분야를 의미한다. 또한 특정한 테크네에는 그것이 적용되는 대상의 선에 관한 지식이 들어 있다. 그러나 특정한 테크네는 보편적 선 또는 영혼의 선을 발휘하는 테크네를 알지 못한다는 근원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다. 소크라테스의 질문을 핵심으로 하는 플라톤 변증법은 보편적 선의 본성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서 올바른 질문을 통하여 ‘선에 관한 지식’을 획득하는 과정이다. 올바른 질문의 모범은 소크라테스의 질문에서 찾을수 있는데 그것은 질문자를 출현시키고 질문의 대상을 드러냄으로써 질문에 대한 답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질문과 답의 과정을 통하여 질문자는 지식의 주체와 대상의 결합체인 ‘선에 관한 지식’을 획득할 수 있다. 선에 관한 지식의 획득은 지식의 주체와 대상이 결합된 인간 본성, 선에 자신을 부합시키는 인간 본성의 획득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변증법은 영혼의 선을 실현하는 테크네이다. 특정한 테크네는 영혼의 선을 실현하는 변증법과 결합될 때만 그 도구성을 벗어나 교육 내용의 가치를 얻게 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relation between educational contents and the good by considering on the concept of ‘Techne’. The Greek sense of Techne is the profession based on special knowledge, which is the mastery over the good of the objects on which the Techne is applied. However, the particular Techne lacking in the good of the soul, that is, the universal good, has the original limitation. Plato’s dialectic of which the question has the core role, is for acquiring of the nature of the Good, that is, the universal one. Plato’s dialectic represents the process of possessing the knowledge of the Good through the proper questions. Socratic questions are the model of the proper ones, making the questioner emerge and revealing the objects of the questions. The questioner is able to attain the knowledge of the Good, which is the combination of the subject and object of knowledge. The acquiring of the knowledge of the Good is the attainment of the human nature which is trying to conform itself to the Good. Therefore Plato’s dialectic is to be named the Techne realizing the good of the soul. The particular techne is able to have the value which deserves the educational contents, only if it is allied with the Socratic question.
목차
Ⅰ. 문제 제기
Ⅱ. 보편적 선의 의미
Ⅲ. 변증법의 핵심: 질문
Ⅳ. ‘선에 관한 지식’을 통한 인간 본성의 실현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 내용과 선(善)의 관계: ‘테크네’의 개념을 중심으로
- 誠과 敬: 성리학의 종교적 측면
- 포스트휴머니즘과 배려윤리 교육
- 은유와 전달: 개념전달과 이념전달
- ‘心術’로서의 정치: 쉴러의 정치철학
- 국가에서의 철학자-군주의 역할
- 교사의 전문성에 관한 거시적 논의와 미시적 논의
- 마르틴 부버 「나와 너」의 교육학적 해석
- 쉴러 「인간의 심성교육」의 수사와 교육학적 함의
- 민주시민교육에서 필리아의 의미
- 인공지능과 도덕적 책임에 관한 고찰
- 「능엄경」 불교인식론의 교육학적 고찰: 메타프락시스적 인식론 서설
- 스피노자 「윤리학」에서의 신의 개념: 메타프락시스적 관점
- 내러티브의 종교적 차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