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마르틴 부버 「나와 너」의 교육학적 해석

이용수  570

영문명
An Educational Interpretation of I and Thou of Martin Buber
발행기관
한국도덕교육학회
저자명
유승연(Seung-yeon You)
간행물 정보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34권 제1호, 211~22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3.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마르틴 부버는 「나와 너」에서 두 개의 근원어, 즉 ‘나-그것’과 ‘나-너’를 통하여 어떤 삶이 올바른 삶인가 하는 문제에 답한다. 그의 주장에 의하면, 인간은 존재의 한계로 말미암아 모든 대상을 ‘그것’으로 바라볼 수밖에 없지만, 진정한 관계와 만남은 대상을 ‘너’로 바라볼 때 비로소 가능하다. 부버 사상의 기반이 되는 하시디즘의 핵심은 일상의 모든 것을 성스럽게 하는 것으로서, 이 점을 염두에 두면 부버는 우리 주변의 모든 것에 신이 내재한다는 주장을 펼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나와 너」에서 ‘타고난 너’와 ‘영원한 너’의 개념은 신이 모든 것에 ‘내재’할 뿐만 아니라, 모든 것을 ‘초월’한다는 두 가지 의미를 동시에 보여주고 있다. 두 가지 개념을 어떻게 해석하는가에 따라, 그의 사상이 교육에 주는 시사점 역시 다르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Martin Buber discusses about two primary words in his book I and Thou. Two primary words are ‘I-It’ and ‘I-Thou’. He answered the question about good life through these two words. According to his argument, we see everything as ‘it’ because of our limitation as human beings. But a true relationship and meeting can be possible when we see everything as ‘thou’. Hasidism is the basis of Buber’s theory. Hasidism’s core idea is that we should make everything in our life holy. According to this, Buber insists that God exists in everything in the world. However, in I and Thou, there are two concepts: ‘inborn thou’ and ‘eternal thou’. These two concepts show that God is immanent in everything and transcend to everything at the same time. How we can understand the implication of his theory depends on how we interpret these two concepts.

목차

Ⅰ. 서론
Ⅱ. ‘나-그것’과 ‘나-너’
Ⅲ. ‘타고난 너’와 ‘영원한 너’: 신의 내재-초월 문제
Ⅳ. 결론: 교육에의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승연(Seung-yeon You). (2022).마르틴 부버 「나와 너」의 교육학적 해석. 도덕교육연구, 34 (1), 211-228

MLA

유승연(Seung-yeon You). "마르틴 부버 「나와 너」의 교육학적 해석." 도덕교육연구, 34.1(2022): 211-2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