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사의 전문성에 관한 거시적 논의와 미시적 논의

이용수  394

영문명
The Paradigm Shift and the Nature of Teacher Professionalism
발행기관
한국도덕교육학회
저자명
박채형(Chae-Hyeong Park)
간행물 정보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34권 제1호, 279~299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3.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교사의 전문성에 관한 논의는 크게 두 가지 방향에서 접근될 수 있다. 전문직이 갖추고 있는 일반적인 특성에 비추어 교사의 과업을 평가하면서 그들의 전문성을 처방하는 논의가 한 가지 방향이라면, 다른 한 가지 방향은 교사가 수행하는 특이한 역할에 의존하여 그들에게 적용될 전문성을 새롭게 규정하려는 논의이다. 특히, 교사에게 요구되는 세부적인 능력의 총화로 교사의 전문성을 규정하는 거시적 논의는 폭넓은 공감대를 형성한 전자의 전형적인 사례로 손꼽히고 있지만, 종전까지 독보적인 지위를 누리던 그러한 논의는 교사의 전문성을 이루는 개별적 요소의 성격과 그것 사이의 관계를 묻는 위협적인 질문을 배태하고 있다. 최근에 들어 교사들이 지각하는 자신의 역할에 초점을 두고 교사의 전문성을 규정하려는 미시적 시도가 후자의 사례로 주목을 받고 있지만, 그것은 거기에서도 말끔히 해소되지 않는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교과의 성격과 교과교육의 과정을 둘러싼 오우크쇼트의 심오한 인식론적 견해를 끌어들여 그 질문에 대한 근본적인 대답을 모색하는 동시에 교사의 전문성에 관한 궁극적인 해명을 시도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icate the nature of teacher professionalism microscopically. The arguments about teacher professionalism was stared in a way to prescribe the concept of professionalism as traits of professional fields for teaching activity. But, it results to degrade teaching activity. Then, people altered the classical way into defining teacher professionalism in teaching activity itself. At present, the arguments has developed to define it through teacher s perspectives. They define the teacher professionalism as a elements as following: teaching ability of school subjects, ability to educational guidance, understanding of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nd pedagogic knowledge, and attitude as teacher. However, we make a question what is the elements exactly. If we don t have a answer to the question, the recent arguments become to a simple catch phrases. That is to say, to grope the answer is a key to make the recent arguments meaningfully. M. Oakeshott s epistemology in “learning and teaching” suggests us the answer. Following his opinion, teacher manifests non-linguistic expressions in company with linguistic it in schooling, and teacher professionalism is define as the total body activities of teacher. Teaching ability of school subjects and ability to educational guidance are the modes of the teacher professionalism as total body activities of teacher abstracted in aspect of a situation, and attitude as teacher is mode of it abstracted in aspect of a emotion. Understanding of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s a part of understanding pedagogic knowledge. These elements make teacher to possess the abilities and attitudes as the teacher professionalism.

목차

Ⅰ. 서론
Ⅱ. 교사의 전문성: 고전적 논의
Ⅲ. 교사의 전문성: 대안적 논의
Ⅳ. 교사의 전문성: 인식론적 의미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채형(Chae-Hyeong Park). (2022).교사의 전문성에 관한 거시적 논의와 미시적 논의. 도덕교육연구, 34 (1), 279-299

MLA

박채형(Chae-Hyeong Park). "교사의 전문성에 관한 거시적 논의와 미시적 논의." 도덕교육연구, 34.1(2022): 279-29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