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내러티브의 종교적 차원
이용수 139
- 영문명
- Religious Aspect of Narrative
- 발행기관
- 한국도덕교육학회
- 저자명
- 곽은혜(Eun-hye Kwag)
- 간행물 정보
-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34권 제1호, 21~4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야기 또는 이야기하는 행위를 뜻하는 내러티브는 오늘날 흔히 문학이론이나 질적연구 방법론의 관점에서 다루어지고 있지만, 그것은 인간의 경험 그 자체를 드러내는 이론적 개념으로 해석될 가능성이 있다. 리쾨르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시간이론과 아리스토텔레스의 내러티브 이론을 결합하여 내러티브가 경험의 근본적인 원천이 된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더 나아가 칸트의 도식론에 비추어 보면, 내러티브는 인간 경험과 사실상 분리되어 존재하면서 이미 일어난 경험을 사후에 기술하는 이야기가 아니라, 인간에게 경험이라는 것이 일어나려고 하면 인간 내면에 갖추어져 있다고 볼 수밖에 없는 경험의 논리적 형식으로서의 의미를 가지는 이야기이다. 이 때, 내러티브는 경험의 사상에 종합적 통일성을 부여함으로써 하나의 전체로서의 경험을 가능하게 하는 순수주관성의 역할을 의미하며, 이와 같이 내러티브가 나타내는 선험적 차원은 우리에게 인식의 신적, 종교적 차원을 보여준다. 이러한 관점에서 내러티브의 개념을 이해할 때, 그것은 이런저런 이야기가 아닌 인식 그 자체를 가능하게 하는 힘을 가진 이야기로 해석될 수 있으며, 그것은 경험적 차원을 넘어서는 형이상학적 차원으로서의 인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이야기로 해석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narrative’ as an epistemological concept. In a contemporary studies, this concept is treated as s kind of literature theory or methodology like ‘narrative inquiry’. But narrative merely is not a kind of story but a fundamental origin of experience itself. Ricoeur tried to reveal that human cannot experience anything without narrative through combining Augustine’s theory of time and Aristotle’s theory of narrative. In his theory, narrative is elucidated by muthos and mimesis and human experience only can occur when ‘muthos’ organize the events and ‘mimesis’ represents human action. In this point of view, narrative cannot be understood a certain kind of story or plot. It is a form of experience. Obviously, this is derived from Kantian concept ‘scheme’, i.e. an ability of integration in human mind. Kant’s transcendental philosophy tells us that experience can occur when scheme integrates the intuitions of objects. And this scheme only can be interpreted as a transcendental form of knowledge. Based on this idea, Ricoeur founded his text theory which shows the way of experience through interpretation of text. This interpretation of narrative shows us it must be thought as a crucial concept of epistemology. Narrative is a story which can occur human experience itself and it can lead us a transcendental aspect of human mind, i. e. a religious aspect of mind.
목차
Ⅰ. 서론
Ⅱ. 인식의 원천으로서의 내러티브
Ⅲ. 내러티브의 선험적 차원
Ⅳ. 내러티브 인식론과 교육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 내용과 선(善)의 관계: ‘테크네’의 개념을 중심으로
- 誠과 敬: 성리학의 종교적 측면
- 포스트휴머니즘과 배려윤리 교육
- 은유와 전달: 개념전달과 이념전달
- ‘心術’로서의 정치: 쉴러의 정치철학
- 국가에서의 철학자-군주의 역할
- 교사의 전문성에 관한 거시적 논의와 미시적 논의
- 마르틴 부버 「나와 너」의 교육학적 해석
- 쉴러 「인간의 심성교육」의 수사와 교육학적 함의
- 민주시민교육에서 필리아의 의미
- 인공지능과 도덕적 책임에 관한 고찰
- 「능엄경」 불교인식론의 교육학적 고찰: 메타프락시스적 인식론 서설
- 스피노자 「윤리학」에서의 신의 개념: 메타프락시스적 관점
- 내러티브의 종교적 차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