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은유와 전달: 개념전달과 이념전달
이용수 101
- 영문명
- Metaphor and Transmission: Transmission of Concept and Transmission of Idea
- 발행기관
- 한국도덕교육학회
- 저자명
- 류재훈(Jae-Hoon Ryu)
- 간행물 정보
-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34권 제1호, 229~25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논리의 정확성과 엄밀성을 요구하는 학문적 언어로서 부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은유가 교육적 전달을 위한 언어 사용 방식이라는 점을 해명하기 위한 연구이다. 교육이 인간 형성을 위한 실천인 만큼, 그것은 전달자가 언어를 통해 피전달자의 사고의 변화와 존재의 변화를 초래하는 전달 행위이다. 그리고 은유는 그 전달을 효과적으로 가능하게 만드는 언어 사용 방식이다. 이점을 해명하기 위해서 은유에 관한 아리스토텔레스와 니체의 견해를 간략하게 고찰하였다.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은유는 전혀 관련이 없어 보이는 두 대상 사이에 유사성을 찾는 것이다. 은유에 내재한 갈등과 모순을 해소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개념을 포섭하고 우리의 지식체계에 변화가 생겨난다. 이것은 은유가 사고의 변화를 위한 언어 사용 방식이라는 점을 드러낸다. 한편, 니체에게 은유는 고착화된 개념의 그물망에 빠지지 않고 형이상학(메타피직스)을 극복하기 위한 언어 사용 방식이다. 이것은 은유가 한 차원 높은 삶의 경지로 우리를 안내하는 일이라는 점을 명백히 드러내고 있다. 마지막으로, 니체의 은유는 메타피직스가 이미 확립된 것으로가정하고 있는 인간 형성을 실제적 차원에서 설명한다는 점에서 메타프락시스의 전달이론에 비추어 조명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metaphor, regarded as an inappropriate concept in terms of logical rigor and precision in the academic field, needs to be re-established as the educational language in transmission. As education is a human formation activity, through language, the sender and receiver are in a continual process of becoming. Metaphor is a transmission method reflecting the transformative possibilities of language. To elucidate this point, Aristotle s and Nietzsche s views on metaphor are briefly considered. For Aristotle, metaphor is the search for similarities between two seemingly unrelated objects. In resolving the conflicts and contradictions inherent in metaphors, new concepts are embraced and changes are made to our knowledge system. This reveals that metaphor is a way of using language to change thinking. On the other hand, for Nietzsche, metaphor is a way of using language to overcome metaphysics without falling into the web of fixed concepts. Nietzsche’s metaphor gives educational implications of human becoming in the practical context in light of transmission theory in metapraxis and leads us to a level of life that we did not realize possible.
목차
Ⅰ. 서론
Ⅱ. 은유와 개념전달: 아리스토텔레스
Ⅲ. 은유와 이념전달: 니체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 내용과 선(善)의 관계: ‘테크네’의 개념을 중심으로
- 誠과 敬: 성리학의 종교적 측면
- 포스트휴머니즘과 배려윤리 교육
- 은유와 전달: 개념전달과 이념전달
- ‘心術’로서의 정치: 쉴러의 정치철학
- 국가에서의 철학자-군주의 역할
- 교사의 전문성에 관한 거시적 논의와 미시적 논의
- 마르틴 부버 「나와 너」의 교육학적 해석
- 쉴러 「인간의 심성교육」의 수사와 교육학적 함의
- 민주시민교육에서 필리아의 의미
- 인공지능과 도덕적 책임에 관한 고찰
- 「능엄경」 불교인식론의 교육학적 고찰: 메타프락시스적 인식론 서설
- 스피노자 「윤리학」에서의 신의 개념: 메타프락시스적 관점
- 내러티브의 종교적 차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