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구술 문학과 공동체 : 새로운 문제 제기
이용수 80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저자명
- 김열규
- 간행물 정보
- 『구비문학연구』제19집, 1~1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1.0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의 최종적인 목적은 구술문학과 공동체 또는 공동체성과 구전문학의 관계를 말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선 공동체, 공동체성의 개념과 아울러서 민속과 구전문학의 의미, 기능 등이 새로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이렇게 적시될 새로운 지역성과 공동체성 그리고 민속 및 구전문학의 속성을 말할 때, 당연히 ‘포스트 콜로니얼리즘’의 추세가 고려되어야 한다.
한편, 포스트모더니즘의 추세와 나란히 오늘날을 글로벌리즘의 시대라고 부르는 것과 관련시켜서 새로운 지역성과 공동체성 그리고 향토성을 이야기 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명제는 아울러 구술문학에도 적용 가능하다. 광역화되고 원심적인 공동체 개념이 모색되는 동시에 민속과 구전문학 역시 광역화된 공동체 또는 공동체성과 맺어서 생각할 수 있다. 즉, 글로벌리즘과 로컬리즘의 성공적인 절충인 ‘글로컬리즘’을 이룩하기 위해서는 국내의 로컬리즘을 살려야 한다. 이 같은 당위성 앞에서 민속이나 구술문학의 새로운 입지가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한편, 오늘날의 에콜로지 또는 에코 컬츄어도 고려의 대상에 넣어야 한다. 환경이나 자연도 중요한 향토 자료이자 지역문화임을 상기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오늘의 시대가 대량소비사회에 겹친 산업사회고 레저 문화 시대라는 것을 전제로 한 새로운 공동체 및 공동체성이 모색되어야 한다는 인식의 눈에 다다라야 할 것이다. 구술전승을 비롯한 민속문화가 소비 시장과 위락 시장에서 새로운 상품이 되는 길 또한 모색되어야 한다. 그것이야 말로 열린 시대의 한국적인 공동체를 형성하는 이념적인 주축이 될 것이다.
이를 통해 한국 구전문학은 글로벌리즘 시대다운 새로운 지평을 열어젖힐 것이며, 한국인의 범세계적인 공동체성이 부각될 것이다.
영문 초록
목차
1. 포스트 모더니즘 시대의 지역 공동체와 민속문화
2. 글로벌리즘 시대의 향토성과 지역성
3. 공동체성과 구전문학의 새 지평 열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동체문화와 공동체문학 : 놀이 및 의례를 중심으로
- 음악과 구비문학, 그리고 공동체
- 영월 ‘술샘(酒泉)’ 전설의 장소성과 역사성
- 호랑이 소재 民譚과 民畵의 유형 분류와 무의식 분석
- ‘연행 인형’을 통해서 본 조선시대 사람들의 인형 인식 양상
- 여성화자 구연설화의 특징 : 자양동 딱따구리 할머니의 구연 설화를 중심으로
- 공동체의 관점에서 본 말과 구비문학
- 진오기굿의 뜬대왕과 사재삼성거리 무가 연구
- 구술 문학과 공동체 : 새로운 문제 제기
- 구비설화의 미디어적 성격
- 한국 구비서사시에 나타난 민속적 사실, 그 상상력의 층위와 지향점
- 해와 달을 쏘는 신화의 의례에 관한 연구 :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인문학 > 문학분야 NEW
- 공생으로부터 출발하는 공감을 위하여: 들뢰즈의 <이것임>, D.H. 로렌스의 <함께 느낌>, 그리고 <노란봉투 캠페인>
- 신경과학적 공감탐구
- 레비나스에게서 초월 : 하늘의 지혜를 이 땅에서 실현하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