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와 달을 쏘는 신화의 의례에 관한 연구 :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97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저자명
- 노성환
- 간행물 정보
- 『구비문학연구』제19집, 215~23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1.0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지금까지 일월조정신화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척되고 있으나, 정작 그에 관련된 의례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다. 신화와 의례가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다는 것은 이미 상식화된 사실이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일월조정신화와 관련된 의례를 연구한다는 것은 대단히 의미있는 일이다. 일월을 조정하는 데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그 중 활로 해와 달을 쏘아 떨어뜨려 조정하는 의례가 일본의 마을 민속에 많이 남아 있다. 그 대표적인 것이 관동지역에서 봄맞이 행사로 흔히 행하고 있는 「오비샤」라는 제의이다. 이 제의는 호주 남자를 중심으로 조직된 마을 사람들이 삼족오와 토끼가 그려진 과녁 그림을 활을 쏘아 찢고 떨어뜨리는 행사이다.
이것을 기존의 일본 민속학계에서는 한 해의 농사 수확에 대해 점을 치는 年占說이 거의 정설화되어 있었다. 그런데 최근 이를 강하게 부정하고 나선 사람이 하기하라 노리코씨이다. 그녀는 다소 그러한 요소가 없지는 않으나 과녁의 그림이 삼족오와 토끼로 된 것이 주종을 이룬다는 것은 화살로 해와 달을 쏘는 신화가 그 배경에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며, 해와 달을 쏘아 떨어뜨림으로써 천체의 운행을 순조롭게 하기 위함이며, 그것으로 인해 기후가 원만하게 조절되어 농작물의 풍요를 기원하기 위한 것이라고 해석하였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그러한 요소가 있는 것은 사실이나, 그 의례를 부분적으로 보지 말고 전체적인 면에서 바라볼 때 「오비샤」라는 해와 달을 쏘는 행위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더욱 중요한 것은 「토오와타시」라는 의례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것은 마을에 있어서 새로운 지도자가 바뀌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의례이기도 했다. 새롭게 선출된 지도자는 명실공히 종교적, 정신적, 정치적 지도자를 모두 겸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중요한 의례를 사이에 두고 해와 달을 활로 쏘아 떨어뜨리는 「오비샤」 의례가 행하여진다는 것은 지금까지 연점설 그리고 일월조정신화의 배경설 이외에 새로운 지역왕권의 탄생을 알리는 의례로도 해석이 가능하다는 것을 지적하였던 것이다.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해와 달을 쏘는 민속행사
3. 오비샤의 기원설화
4. 중국과의 관계
5. 해와 달을 쏘는 목적과 배경
6. 해와 달은 쏘는 제의와 왕권의 탄생
7.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동체문화와 공동체문학 : 놀이 및 의례를 중심으로
- 음악과 구비문학, 그리고 공동체
- 영월 ‘술샘(酒泉)’ 전설의 장소성과 역사성
- 호랑이 소재 民譚과 民畵의 유형 분류와 무의식 분석
- ‘연행 인형’을 통해서 본 조선시대 사람들의 인형 인식 양상
- 여성화자 구연설화의 특징 : 자양동 딱따구리 할머니의 구연 설화를 중심으로
- 공동체의 관점에서 본 말과 구비문학
- 진오기굿의 뜬대왕과 사재삼성거리 무가 연구
- 구술 문학과 공동체 : 새로운 문제 제기
- 구비설화의 미디어적 성격
- 한국 구비서사시에 나타난 민속적 사실, 그 상상력의 층위와 지향점
- 해와 달을 쏘는 신화의 의례에 관한 연구 :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인문학 > 문학분야 NEW
- 공생으로부터 출발하는 공감을 위하여: 들뢰즈의 <이것임>, D.H. 로렌스의 <함께 느낌>, 그리고 <노란봉투 캠페인>
- 신경과학적 공감탐구
- 레비나스에게서 초월 : 하늘의 지혜를 이 땅에서 실현하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