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성화자 구연설화의 특징 : 자양동 딱따구리 할머니의 구연 설화를 중심으로
이용수 51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저자명
- 박상란
- 간행물 정보
- 『구비문학연구』제19집, 277~316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1.01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딱따구리 할머니의 구연 설화를 중심으로 여성 화자가 구연한 이야기의 특징을 밝혀 본 것이다. 특히, 남성 화자와 비교했을 때 여성 화자가 다르게 혹은, 중점을 두고 구연하는 내용은 무엇이고 그것이 성별적 특성과 어떻게 관련되는지 하는 점을 살펴 본 것이다. 우선 딱따구리 할머니는 전래되는 이야기 유형을 여성의 관심사 및 경험에 맞게 즉, 여성 중심적인 이야기로 바꾼다. 그 과정에서 남성화자와 다툼을 벌이기도 하는데 심한 경우, 그 접점에서 이야기의 주제가 갈리기도 한다. 이는 하나의 현상에 대해 남녀화자가 다르게 의식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그리고 할머니는 남성 화자 구연 목록에서는 보기 드문, 여성의 성욕을 드러내는 이야기를 구연한다. 여성 화자로서의 성별적 특성이 설화 구연에 작용했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여성 화자가 기존의 이야기를 여성의 이야기로 바꾸거나 여성의 이야기를 즐겨 구연하는 것은 애초에 여성의 이야기와 남성의 이야기가 별도로 있었다는 것, 그 이야기판이 성별적 특성에 따라 구획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영문 초록
목차
1. 왜 여성화자인가
2. 여성의 이야기와 남성의 이야기
3. 딱따구리 할머니의 이야기
4. ‘여성의 이야기’로 바꾸기
5. ‘여성의 이야기’ 하기
6. 요약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동체문화와 공동체문학 : 놀이 및 의례를 중심으로
- 음악과 구비문학, 그리고 공동체
- 영월 ‘술샘(酒泉)’ 전설의 장소성과 역사성
- 호랑이 소재 民譚과 民畵의 유형 분류와 무의식 분석
- ‘연행 인형’을 통해서 본 조선시대 사람들의 인형 인식 양상
- 여성화자 구연설화의 특징 : 자양동 딱따구리 할머니의 구연 설화를 중심으로
- 공동체의 관점에서 본 말과 구비문학
- 진오기굿의 뜬대왕과 사재삼성거리 무가 연구
- 구술 문학과 공동체 : 새로운 문제 제기
- 구비설화의 미디어적 성격
- 한국 구비서사시에 나타난 민속적 사실, 그 상상력의 층위와 지향점
- 해와 달을 쏘는 신화의 의례에 관한 연구 :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인문학 > 문학분야 NEW
- 공생으로부터 출발하는 공감을 위하여: 들뢰즈의 <이것임>, D.H. 로렌스의 <함께 느낌>, 그리고 <노란봉투 캠페인>
- 신경과학적 공감탐구
- 레비나스에게서 초월 : 하늘의 지혜를 이 땅에서 실현하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