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음악과 구비문학, 그리고 공동체
이용수 79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저자명
- 김헌선
- 간행물 정보
- 『구비문학연구』제19집, 119~190쪽, 전체 7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1.01
11,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구비문학과 음악은 말이라는 기본 자질을 공유한다. 그래서 구비문학과 음악은 깊은 관련성을 갖는다. 기저 자질이 일치하나 이러한 기저 자질의 실현 양상은 구비문학의 갈래에 따라서 전혀 다르게 나타난다. 구비문학과 음악은 공동체의 상정 여하에 따라서 다양하게 구성되는 특징이 있음이 증명되었다. 소리가 다양하나 민요의 경우에는 공동체 전체가 문제되며, 언어적 기저 자질을 공유하는 것에 따라서 공동체가 상정된다. 동요의 경우에 언어적 분절과 율격적 분절, 음악적 분절이 결합되며, 특히 지역적 차이를 형성하고 있는 음악적 분절이 자의적으로 결합되고 이를 근간으로 해서 지역공동체의 차이를 해명할 수 없다고 본다. 그러나 무가의 경우에는 선명하게 지역적 차이를 해명할 수 있다. 민요와 다르게 무가는 전문적인 사제자 집단이 공동체로 작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차이가 부각된다. 동일한 구비문학인 데도 공동체가 어느 집단이 되고 어떠한 갈래인가의 여하에 따라서 차별성을 증명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영문 초록
목차
1. 문제제기
2. ‘새는새는 남게자고’ 유형 동요의 지역적 분포와 지역유형 그리고 분절의 문제
3. 경기도 도당굿과 서울굿 진오귀굿의 가무악희 구현양상
4. 논의의 정리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동체문화와 공동체문학 : 놀이 및 의례를 중심으로
- 음악과 구비문학, 그리고 공동체
- 영월 ‘술샘(酒泉)’ 전설의 장소성과 역사성
- 호랑이 소재 民譚과 民畵의 유형 분류와 무의식 분석
- ‘연행 인형’을 통해서 본 조선시대 사람들의 인형 인식 양상
- 여성화자 구연설화의 특징 : 자양동 딱따구리 할머니의 구연 설화를 중심으로
- 공동체의 관점에서 본 말과 구비문학
- 진오기굿의 뜬대왕과 사재삼성거리 무가 연구
- 구술 문학과 공동체 : 새로운 문제 제기
- 구비설화의 미디어적 성격
- 한국 구비서사시에 나타난 민속적 사실, 그 상상력의 층위와 지향점
- 해와 달을 쏘는 신화의 의례에 관한 연구 :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인문학 > 문학분야 NEW
- 공생으로부터 출발하는 공감을 위하여: 들뢰즈의 <이것임>, D.H. 로렌스의 <함께 느낌>, 그리고 <노란봉투 캠페인>
- 신경과학적 공감탐구
- 레비나스에게서 초월 : 하늘의 지혜를 이 땅에서 실현하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