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구비설화의 미디어적 성격
이용수 35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저자명
- 심우장
- 간행물 정보
- 『구비문학연구』제19집, 87~118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1.0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여기에서는 구비설화가 갖고 있는 미디어적 성격을 네트워크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는 구비설화가 전승 · 전파하려는 정보는 무엇인지, 그것을 구비설화는 어떻게 관리하는지, 그리고 어떠한 방식으로 전달하는지, 이 과정에서 구비설화가 가지고 있는 네트워크 미디어적인 성격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여타의 미디어와 마찬가지로 구비설화도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정보를 해석하고 구성하는 과정을 거친다. 정보의 주요한 맥락을 없애 버리는 단순화의 과정, 삭제된 맥락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맥락에 정보를 동화시키는 맥락화의 과정, 맥락에 기반을 두고 필요한 정보를 추가하는 정교화의 과정이 그것이다. 이렇게 해석되고 구성된 정보가 네트워크의 형태를 가진 미디어를 통해 전파된다는 점이 특히 주목을 요하는 부분이다.
구비설화가 네트워크 미디어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그것에 의해 정보를 저장 · 보존하고 교류 · 탐색해 나가는 최상의 조건을 만들어 간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척도없는 네트워크라는 독특한 구조를 띤 구비설화 미디어는 위상구조적인 견고함을 통해 정보의 저장과 보존에 탁월함을 보여주며, 더 나아가 맥락의 변화에 맞추어 새로운 정보 네트워크를 창발해 낼 수 있는 조건 또한 갖추고 있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공동체 개념에 대한 변화를 모색하였다. 물리적인 공간에 근거한 생활공동체의 목가적 신화에서 벗어나 사회적 연결망이라는 관계의 개념을 추구해야 한다는 점을 특히 강조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1. 논의의 단서
2. 구술문화와 구비설화, 그리고 미디어
3. 구비설화의 미디어적 성격
3.1. 정보의 구성 및 해석
3.2. 정보의 전달 체계 및 특성
4. 논의의 확장 가능성 - 공동체의 관점에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동체문화와 공동체문학 : 놀이 및 의례를 중심으로
- 음악과 구비문학, 그리고 공동체
- 영월 ‘술샘(酒泉)’ 전설의 장소성과 역사성
- 호랑이 소재 民譚과 民畵의 유형 분류와 무의식 분석
- ‘연행 인형’을 통해서 본 조선시대 사람들의 인형 인식 양상
- 여성화자 구연설화의 특징 : 자양동 딱따구리 할머니의 구연 설화를 중심으로
- 공동체의 관점에서 본 말과 구비문학
- 진오기굿의 뜬대왕과 사재삼성거리 무가 연구
- 구술 문학과 공동체 : 새로운 문제 제기
- 구비설화의 미디어적 성격
- 한국 구비서사시에 나타난 민속적 사실, 그 상상력의 층위와 지향점
- 해와 달을 쏘는 신화의 의례에 관한 연구 :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인문학 > 문학분야 NEW
- 공생으로부터 출발하는 공감을 위하여: 들뢰즈의 <이것임>, D.H. 로렌스의 <함께 느낌>, 그리고 <노란봉투 캠페인>
- 신경과학적 공감탐구
- 레비나스에게서 초월 : 하늘의 지혜를 이 땅에서 실현하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