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생으로부터 출발하는 공감을 위하여: 들뢰즈의 <이것임>, D.H. 로렌스의 <함께 느낌>, 그리고 <노란봉투 캠페인>

이용수  0

영문명
Toward Sympathy Starting from Symbiosis: Deleuze’s Thisness, D.H. Lawrence’s Feeling with, and Yellow Envelope Campaign
발행기관
숙명인문학연구소
저자명
경혜영(Hye Young Kyung)
간행물 정보
『횡단인문학』제20호, 47~87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7,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기존의 심리학적 공감 이론이 가진 인간종 예외주의나 우월주의적인 면모를비판적으로 바라보면서, 비장애 어른 인간만이 가진 고도의 인지적 능력이 아니라 지각의관점에서 접근하여 ‘인간과 비인간을 아우르는 공감 이론’의 가능성을 모색하려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공생적 동맹’의 관점에서 동물-되기와 인간 너머의 지각으로 향하는 들뢰즈의 후기 지각 이론을 숙고하고, 지각의 분자적인 것-되기 과정에서 나오는‘<이것임>의 파악’을 프란스 드 발의 “비인지적 염려”와 연관시킨다. 더 나아가, D.H. 로렌스의 공감, 즉 “함께 느낌”에 <이것임>의 파악과 같은 미묘한 지각이 있음을 포착하고, 이전체를 ‘공생적 공감’으로 부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우리 사회 안에서 자발적이고 즉각적인 시민사회 운동을 이끈 <노란봉투 캠페인>에서 사람들 사이의 공생적 공감을 발견하며, 이를 인간과 비인간을 아우르는 공감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로서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the aspects of human species exceptionalism or superiority in the existing psychological empathy theory, and attempt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 ‘theory of sympathy that encompasses humans and non-humans’ by approaching it from the perspective of perception rather than of the advanced cognitive ability that only non-disabled human adults possess.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considering Deleuze’s later theory of perception, which moves toward becoming-animal and perception beyond humans in the perspective of ‘symbiotic alliance’, connects the ‘prehension of thisness(haecceity )’ that comes from the process of becoming-molecular of perception with Frans de Waal’s “preconcern”. Furthermore, this study captures the subtle perception such as the prehension of thisness(haecceity ) in D.H. Lawrence’s “Feeling with”, and proposes to call these tout ensemble ‘Symbiotic Sympathy’. And finally, examining as a Korean case, the , which led a spontaneous and immediate civil society movement in South Korea, this article catches much of symbiotic sympathies between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is campaign, and presents it as a case that shows the new possibility of sympathy encompassing humans and non-humans.

목차

1. 들어가며: ‘비인지적 염려(preconcern)’에 대하여
2. 들뢰즈의 ‘<이것임>의 파악’: 지각의 분자적인 것-되기
3. ‘반자연적 관여’로서의 공생적 동맹의 관점에서 보는 공감
4. 공감(共感)/‘함께 느낌(feeling with)’과 <노란봉투 캠페인>
5. 나가며: <이것임>을 파악하는 지각-되기를 통해 공생적 공감으로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경혜영(Hye Young Kyung). (2025).공생으로부터 출발하는 공감을 위하여: 들뢰즈의 <이것임>, D.H. 로렌스의 <함께 느낌>, 그리고 <노란봉투 캠페인>. 횡단인문학, (), 47-87

MLA

경혜영(Hye Young Kyung). "공생으로부터 출발하는 공감을 위하여: 들뢰즈의 <이것임>, D.H. 로렌스의 <함께 느낌>, 그리고 <노란봉투 캠페인>." 횡단인문학, (2025): 47-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