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경과학적 공감탐구

이용수  0

영문명
A Neuroscientific Exploration of Empathy
발행기관
숙명인문학연구소
저자명
김학진(Hackjin Kim)
간행물 정보
『횡단인문학』제20호, 1~46쪽, 전체 46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8,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공감이 작동하는 신경과학적 원리를 토대로 공감이 유발하는 다양한 사회적행동들에 대해 설명한다. 공감은 타인의 감정을 자신의 것처럼 느끼는 심리적 현상으로, 뇌섬엽(insula)을 중심으로 한 뇌의 시뮬레이션 기능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자기신체 상태에 기반한 자기중심적인 공감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공감의 자기중심적속성은 집단 내 다른 구성원에게만 선택적으로 강하게 나타나는 내집단 편향과 인식가능한 피해자 효과나 감정적 소진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타인을 이해하는 또다른 방식인 관점 이동(perspective-taking)은 공감과 구분된 측두-두정 접합부(temporo-parietal junction)를 포중심으로 한 신경회로를 사용하며, 공감의 자기중심적 한계를 극복하도록해주지만, 높은 인지적 자원을 소모하며 주로 이기적인 동기로 작동된다는 또다른 한계점을 지닌다. 본 연구는 공감과 관점 이동의 특징과 차이, 그리고 한계점들에 대해 신경과학적 관점에서 소개하고, 마지막으로 신경과학에 기반한 공감 확장 방안으로 자기 감정 인식을 제시하며, 감정 조절 능력과 사회적 관계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maps the cognitive and neural architecture of empathy and the social behaviours it shapes. Empathy—experiencing another’s feelings as one’s own—relies on simulation circuits in which the insular cortex encodes both personal and vicarious pain. Because these signals are anchored in bodily states, they often yield an egocentric empathy that privileges in-group members, skews judgments during intergroup conflict, and drives phenomena such as the identifiable victim effect and emotional fatigue. A complementary route, perspective-taking, recruits a distinct network centred on the temporoparietal junction. By decoupling self from other, perspective-taking can temper empathic bias, yet it is cognitively demanding and prone to self-interested goals. We synthesise evidence on the divergent functions and shared limits of these mechanisms and propose emotional self-awareness— moment-to-moment insight into one’s own affect—as a neurocognitively grounded lever for broadening empathy. Cultivating such awareness may sharpen emotion regulation and foster healthier, more equitable social bonds.

목차

서론
거울뉴런의 발견과 신경과학적 의의
시뮬레이션: 뇌가 세상을 이해하는 방식
공감의 신경학적 기제, 뇌섬엽
공감의 자기중심성
공감의 선택적 편향으로 인한 집단 간 갈등
옥시토신과 내집단 편향
인식 가능한 피해자 효과(Identifiable victim effect)
공감에 기반한 이타성의 한계점
타인을 이해하는 능력, 관점 이동
측두-두정 접합부의 관점 이동 기능
관점 이동의 명과 암
뇌와 신체가 감정을 만드는 방식
자기감정 인식
자기감정 인식의 신경회로
자기감정 인식의 효과
인정 욕구 알아차리기
자기감정 인식을 통한 공감의 확장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학진(Hackjin Kim). (2025).신경과학적 공감탐구. 횡단인문학, (), 1-46

MLA

김학진(Hackjin Kim). "신경과학적 공감탐구." 횡단인문학, (2025): 1-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