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Z Generation's Short-Form Content Usage Factors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 발행기관
-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학회
- 저자명
- 장석준(Seck jun Jang)
- 간행물 정보
-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제7권 제2호, 290~318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감성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MZ세대가 인식하는 숏폼 콘텐츠 이용요인과 플랫폼 신뢰 및 콘텐츠 몰입 그리고 지속사용의도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숏폼 콘텐츠 제작과정에서 참고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MZ세대가 인식하는 숏폼 콘텐츠 이용요인이 플랫폼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 MZ세대가 인식하는 정보추구, 오락추구, 편의추구 요인은 플랫폼 신뢰에 긍정 영향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MZ세대가 인식하는 숏폼 콘텐츠 이용요인이 콘텐츠 몰입에 끼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 MZ세대가 지각하는 정보추구, 오락추구, 편의추구는 콘텐츠 몰입에 긍정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MZ세대가 인식하는 숏폼 콘텐츠의 플랫폼 신뢰와 콘텐츠 몰입이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MZ세대가 인식하는 플랫폼 신뢰와 콘텐츠 몰입은 지속사용을 하고자 하는 행동의도에 긍정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숏폼 콘텐츠 플랫폼 운영 및 콘텐츠 제작과정의 전략 마련에 있어서 이론적이고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ovide information that can be referenced in the short-form content production process by identify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hort-form content usage factors perceived by the MZ generation and platform trust, content immersion,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on the influence of short-form content usage factors perceived by the MZ generation on platform trust, it was found that information seeking, entertainment seeking, and convenience seeking factors perceived by the MZ gener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platform trust.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short-form content usage factors perceived by the MZ generation on content immersion, it was found that information seeking, entertainment seeking, and convenience seeking perceived by the MZ gener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ontent immers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platform trust and content immersion of short-form content perceived by the MZ generation on continuous usage intention, it was verified that platform trust and content immersion perceived by the MZ gener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behavioral intention to continue using. Based on these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ovided for establishing strategies for operating short-form content platforms and creating conten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연구결과
V.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헤어디자이너의 경력·직무위치와 그릿(Grit)·디지털 리터러시가 생성형 AI 수용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 아파트 브랜드이미지와 자아이미지간의 일치성에 관한 연구
- 탈북민의 자전적 이미지와 정치화의 동인
- 제조업 고용의 미래 : 산업별 변화 패턴 분석
- 대학생의 신체이미지와 긍정심리자본
- 해외 모델에이전시 지점별 남녀 신체 이미지 분석
- 시각이미지에 나타난 교육비와 교육 만족도 간의 연관성 분석
- 지위위협이론 관점으로 본 미용실 스태프 간 괴롭힘 연구
- 고신라 시대의 역사적 인물의 고증을 통한 패션쇼 디자인 기획제작
- 보호자의 미디어 교육 경험과 아동의 미디어 이미지 영향력 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 공동주택 선택시 브랜드 이미지, 인지도, 충성도, 신뢰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 네일아트 이미지의 조형적 분석 방법 제시
- 웹툰배경 이미지작업 방식에 대한 내용분석
- 미용인의 소셜러닝 기반 자기주도학습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MZ세대의 숏폼 콘텐츠 이용요인과 지속사용의도간의 영향관계 연구
참고문헌
-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
- 방송문화연구
- 한양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 경희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 광고 연구
-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 경기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 브랜드디자인학연구
- 국제 e-비즈니스학회
-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산업경제
- 청소년복지연구
- 한국디자인포럼
- 김영사
- 경영정보학연구
- 한나래
- e-비즈니스연구
- 서경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정보관리학회지
-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 한국소통학보
-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
- 한국청소년연구
-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 예술 경영연구
- 조형 미디어학
- Deloitte Insights
- Psychological Bulletin
- Journal of Marketing
- MIS Quarterly
- Journal of marketing
- In M. Csikszentmihalyi & I. Csikszentmihalyi (Eds.), Optimal experience: Psychological studies of flow in consciousness
- New York: Harper & Row
-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 Journal of Retailing
-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 Industrial Innovation Research
- Brain and Behavior
-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 The Journal of Marketing
- Harvard business review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Studies
- Communications of the ACM
- Canadian Psychology/Psychologie canadienne
- Frontiers in Psychology
-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관련논문
복합학 > 감성과학분야 BEST
- 명품 소비심리가 브랜드 충성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Z세대를 중심으로
- 긍정심리학과 코칭의 연관성 및 적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라이프코칭 연구동향 및 라이프코칭에 대한 탐색적 연구 -긍정심리기반 중라이프코칭 연구동향 및 라이프코칭에 대한 탐색적 연구 -긍정심리기반 중·장년 대상 관점에서-장년 대상 관점에서-
복합학 > 감성과학분야 NEW
- 헤어디자이너의 경력·직무위치와 그릿(Grit)·디지털 리터러시가 생성형 AI 수용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 아파트 브랜드이미지와 자아이미지간의 일치성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