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Future of Employment in Manufacturing : Industry-Level Pattern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학회
- 저자명
- 전현진(Hyeon Jin Jeon) 권선희(Sun Hee Kwon)
- 간행물 정보
-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제7권 제2호, 73~8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감성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술 수준에 따른 제조업의 고용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Cobb-Douglas 생산함수에 기반한 노동수요함수를 도출하고, 1991년부터 2020년까지 ISTANS 산업별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제조업을 고위기술과 저위기술 산업군으로 구분하고, GMM 추정법 등 다양한 계량분석을 통해 변수들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임금은 전 산업군에서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노동의 가격 상승이 고용 수요를 억제한다는 이론적 예측과 일치한다.
생산량은 모든 산업에서 고용과 유의미한 정(+)의 관계를 나타내어, 산업 성장과 고용 창출 간의 연관성이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기술효율성은 고위기술 산업뿐 아니라 저위기술 산업에서도 고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저위기술 산업에서 그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이는 기술 개선이 저숙련 노동 기반 산업의 고용 안정에 더 큰 기여를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해외직접투자는 저위기술 산업에서만 고용에 유의하게 작용한 반면, 외국인직접투자는 대부분의 산업에서 고용에 부정적 또는 무의미한 영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제조업 고용을 기술수준에 따라 구분하여 분석함으로써, 산업별 노동시장 구조에 대한 세분화된 이해와 정책 설계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eterminants of employment in the manufacturing sector by technological level. Based on a labor demand function derived from the Cobb-Douglas production function, the analysis uses ISTANS industry-level data from 1991 to 2020 and employs GMM estimation methods.
The manufacturing sector is categorized into high-tech and low-tech industries to examine the differential effects of key variables on employment. The results show that wages negatively affect employment in all sectors, while output has a positive and significant relationship. Technological efficiency increases employment in both industry types, with a stronger effect in low-tech sectors, suggesting that productivity improvements contribute more directly to employment stability in labor-intensive industries. Outward Direct Investment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ly in low-tech industries, while Foreign Direct Investment shows mostly insignificant or negative effects. These findings emphasize the need for tailored employment and industrial policies that consider sector-specific technological structures.
목차
Ⅰ. 서 론
Ⅱ. 제조업 고용 추이 및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결과
V.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헤어디자이너의 경력·직무위치와 그릿(Grit)·디지털 리터러시가 생성형 AI 수용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 아파트 브랜드이미지와 자아이미지간의 일치성에 관한 연구
- 탈북민의 자전적 이미지와 정치화의 동인
- 제조업 고용의 미래 : 산업별 변화 패턴 분석
- 대학생의 신체이미지와 긍정심리자본
- 해외 모델에이전시 지점별 남녀 신체 이미지 분석
- 시각이미지에 나타난 교육비와 교육 만족도 간의 연관성 분석
- 지위위협이론 관점으로 본 미용실 스태프 간 괴롭힘 연구
- 고신라 시대의 역사적 인물의 고증을 통한 패션쇼 디자인 기획제작
- 보호자의 미디어 교육 경험과 아동의 미디어 이미지 영향력 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 공동주택 선택시 브랜드 이미지, 인지도, 충성도, 신뢰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 네일아트 이미지의 조형적 분석 방법 제시
- 웹툰배경 이미지작업 방식에 대한 내용분석
- 미용인의 소셜러닝 기반 자기주도학습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MZ세대의 숏폼 콘텐츠 이용요인과 지속사용의도간의 영향관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감성과학분야 BEST
- 명품 소비심리가 브랜드 충성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Z세대를 중심으로
- 긍정심리학과 코칭의 연관성 및 적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라이프코칭 연구동향 및 라이프코칭에 대한 탐색적 연구 -긍정심리기반 중라이프코칭 연구동향 및 라이프코칭에 대한 탐색적 연구 -긍정심리기반 중·장년 대상 관점에서-장년 대상 관점에서-
복합학 > 감성과학분야 NEW
- 헤어디자이너의 경력·직무위치와 그릿(Grit)·디지털 리터러시가 생성형 AI 수용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 아파트 브랜드이미지와 자아이미지간의 일치성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