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Changes in Caregivers' Media Education Experience and Children's Perception of Media Influence
- 발행기관
-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학회
- 저자명
- 권오현(Oh Hyun Kwon) 고두희(Du Hee Ko) 권성욱(Seong Wook Kwon)
- 간행물 정보
-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제7권 제2호, 192~219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감성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어린이 미디어 이용 조사>(2020, 2023) 보고서를 기반으로 보호자의 미디어 교육 경험에 따른 아동의 미디어 이미지 영향력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보호자와 아동 모두의 미디어 교육 경험이 크게 증가하였다. 둘째, 보호자의 학력과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미디어 교육 경험이 높았으며, 반면에 미디어 교육의 사각지대가 여전히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미디어 이미지 영향력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사회적 환경 변화와 연계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새롭게 떠오르는 사이버 괴롭힘과 개인 정보 유출 같은 미디어 위험 요소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보호자의 미디어 이용 경험에 따라 아동이 인식하고 있는 미디어 이미지 영향력이 달라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changes in children’s perception of media image influence based on their caregivers’ media education experience, using data from the Children’s Media Usage Survey (2020, 2023) conducted by the Korea Press Foundati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both caregivers and children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media education experience over time. Second, higher levels of education and income among caregivers were associated with greater exposure to media education, although educational disparities remain. Third, variations in the perception of media image influence were closely linked to broader social and environmental changes. Lastly, the results highlight the growing need to address emerging media-related risks such as cyberbullying and personal data breaches. The study confirms that children’s perception of media image influence varies according to the media education experience of their caregiver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연구결과
V.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헤어디자이너의 경력·직무위치와 그릿(Grit)·디지털 리터러시가 생성형 AI 수용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 아파트 브랜드이미지와 자아이미지간의 일치성에 관한 연구
- 탈북민의 자전적 이미지와 정치화의 동인
- 제조업 고용의 미래 : 산업별 변화 패턴 분석
- 대학생의 신체이미지와 긍정심리자본
- 해외 모델에이전시 지점별 남녀 신체 이미지 분석
- 시각이미지에 나타난 교육비와 교육 만족도 간의 연관성 분석
- 지위위협이론 관점으로 본 미용실 스태프 간 괴롭힘 연구
- 고신라 시대의 역사적 인물의 고증을 통한 패션쇼 디자인 기획제작
- 보호자의 미디어 교육 경험과 아동의 미디어 이미지 영향력 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 공동주택 선택시 브랜드 이미지, 인지도, 충성도, 신뢰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 네일아트 이미지의 조형적 분석 방법 제시
- 웹툰배경 이미지작업 방식에 대한 내용분석
- 미용인의 소셜러닝 기반 자기주도학습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MZ세대의 숏폼 콘텐츠 이용요인과 지속사용의도간의 영향관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감성과학분야 BEST
- 명품 소비심리가 브랜드 충성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Z세대를 중심으로
- 긍정심리학과 코칭의 연관성 및 적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라이프코칭 연구동향 및 라이프코칭에 대한 탐색적 연구 -긍정심리기반 중라이프코칭 연구동향 및 라이프코칭에 대한 탐색적 연구 -긍정심리기반 중·장년 대상 관점에서-장년 대상 관점에서-
복합학 > 감성과학분야 NEW
- 헤어디자이너의 경력·직무위치와 그릿(Grit)·디지털 리터러시가 생성형 AI 수용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 아파트 브랜드이미지와 자아이미지간의 일치성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