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헤어디자이너의 경력·직무위치와 그릿(Grit)·디지털 리터러시가 생성형 AI 수용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영문명
The Impact of Hair Designers' Career, Job Position, Grit, and Digital Literacy on Generative AI Adoption
발행기관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학회
저자명
김창호(Chang Ho Kim)
간행물 정보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제7권 제2호, 1~1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복합학 > 감성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헤어디자이너의 경력과 직무상위치에 따른 그릿, 디지털 리터러시의 차이를 파악하고 그릿과 디지털 리터러시가 생성형 AI 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헤어디자이너의 경력을 5단계로 직무위치를 3가지로 구분하고 이들 구분에 따른 그릿(Grit), 디지털 리터러시의 차이에 관한 가설(1)~가설(4)과 그릿과 디지털 리터러시가 생성형 AI수용과의 간의 관계규명을 위해 가설(5) 가설(6)을 설정하였다. 분석은 212명의 수도권에서 근무하는 헤어디자이너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SPSS 25.0프로그램의 ANOVA 분석과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통해 가설검정이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헤어디자이너의 경력과 직무위치에 따라 그릿수준과 디지털 리터러시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릿(Grit)과 디지털 리터러시가 생성형 AI수용에 정(+)의 영향을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TAM과 자기효용이론의 확장을 위해 경력구조(경력, 직무위치)변수를 검증했다는 측면과 그릿과 디지털 리터러시 변수를 적용해 혁신수용이론의 경험근거를 제공한 면에서 학술적 의미를 지니다. 또한 헤어 디자이너의 생성형 AI의 적용과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실무적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grit and digital literacy according to the career and job position of hair designers, and to clarify the influence of grit and digital literacy on the acceptance of generative AI. Hair designers' careers were divided into five stages and job positions into three, and hypotheses (1) to (4) regarding the differences in grit and digital literacy according to these divisions, and hypotheses (5) and (6) were establishe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digital literacy and the acceptance of generative AI. The analysis used data collected from 212 hair designers working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hypothesis testing was conducted through ANOVA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SPSS 25.0 program.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grit level and digital literacy according to the career and job position of hair designer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grit and digital literac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cceptance of generative AI.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they verified the career structure (career, job position) variables for the expansion of TAM and self-utility theory, and provided an empirical basis for the innovation acceptance theory by applying grit and digital literacy variables. In addition, they have practical significance in that they can serve as basic data for the application of generative AI to hair designers and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형과 가설
Ⅳ. 분석자료
V.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창호(Chang Ho Kim). (2025).헤어디자이너의 경력·직무위치와 그릿(Grit)·디지털 리터러시가 생성형 AI 수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 7 (2), 1-18

MLA

김창호(Chang Ho Kim). "헤어디자이너의 경력·직무위치와 그릿(Grit)·디지털 리터러시가 생성형 AI 수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 7.2(2025): 1-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