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웹툰배경 이미지작업 방식에 대한 내용분석

이용수  0

영문명
Content Analysis of Webtoon Background Image Work Methods
발행기관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학회
저자명
고원상(Weon sang Ko) 송종길(Jong Gil Song)
간행물 정보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제7권 제2호, 253~267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복합학 > 감성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재의 웹툰배경 이미지작업 방식은 2006년 웹툰이 시작하던 때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웹툰 초창기에는 수작업에서 사용하던 드로잉이 디지털로만 전환됐을뿐 작업 방식에 큰 차이가 있지는 않았다. 2011년 이종범 작가의 닥터프로스트에서 처음으로 스케치업을 활용하면서부터 본격적인 3D프로그램이 활용되기 시작하였다. 2025년 기준 현재에 많은 웹툰이 3D프로그램을 활용하고 있다. 이 논문은 현재 주요 플랫폼 3곳에 연재하고 있는 웹툰 150작품을 선정하여 배경작업방법 조사와 웹툰 장르별 사용되는 배경작업방식을 조사하였다. 배경이미지 작업방법으로는 1.3D프로그램 2.사진활용 3.드로잉 4.기타로 분류하였다. 분석결과 3D프로그램 활용이 78.67% 로 단연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드로잉 18.67%, 3D프로그램 기타 2.00%, 사진활용 0.00% 순으로 이어졌다. 특히 플랫폼 별로 분석하였을 때는 네이버에서의 3D프로그램 사용이 93.62%에 이르기도 하였다. 장르에 따른 배경작업방식의 편향도 두드러졌다. 로맨스 및 로맨스판타지전 작품이 3D프로그램으로 작업하였으며 액션, 무협, 학원물에서도 90.00% 이상이 3D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개그와 일상물 장르에서는 드로잉이 상대적으로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current webtoon background production method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in 2006 when webtoons first began. In the early days, manual drawings were simply digitized, with little change in the overall workflow. Full-scale use of 3D programs began in 2011, when SketchUp was first used in Dr. Frost by Lee Jong-beom. As of 2025, many webtoons utilize 3D programs for background production. This study analyzes 150 webtoons currently serialized across three major platforms, examining their background production methods and how they vary by genre. The methods were categorized as: (1) 3D programs, (2) use of photography, (3) drawing, and (4) others. The analysis showed that 3D programs were overwhelmingly dominant, used in 78.67% of the webtoons, followed by drawing (18.67%), other 3D tools (2.00%), and photography (0.00%). By platform, the use of 3D programs was particularly high on Naver, reaching 93.62%. Genre-wise, 3D programs were used in 100% of romance and romantic fantasy works, and in over 90% of action, martial arts, and school genres. In contrast, the comedy and daily-life genres relied more heavily on hand-drawn background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원상(Weon sang Ko),송종길(Jong Gil Song). (2025).웹툰배경 이미지작업 방식에 대한 내용분석.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 7 (2), 253-267

MLA

고원상(Weon sang Ko),송종길(Jong Gil Song). "웹툰배경 이미지작업 방식에 대한 내용분석."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 7.2(2025): 253-2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