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consistency between apartment brand image and self-image
- 발행기관
-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학회
- 저자명
- 김동성(Dong-su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제7권 제2호, 38~53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감성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아파트의 브랜드이미지와 자아이미지 간의 일치성을 실증적으로 연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각 아파트 브랜드별 브랜드이미지의 차이를 비교 하고, 소비자가 지각하는 브랜드이미지와 자신의 자아이미지의 일치정도를 파악하였다. 첫째, 아파트 브랜드에 따른 이미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친밀, 고급, 활동성 측면에서 J아파트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H아파트가 가장 낮았다. 둘째, 자아이미지와 H아파트 브랜드 이미지간의 일치성을 분석한 결과, 자신의 고급스러운 자아이미지가 H아파트의 고급 이미지와 유의미하게 일치하였다. 셋째, 자아이미지와 L아파트 브랜드 이미지간의 일치성을 분석한 결과, 치밀, 고급, 활동, 창의에서 모두 이미지가 일치하지 않았다. 넷째, 자아이미지와 J아파트 브랜드 이미지간의 일치성을 분석한 결과, 자신의 활동적 이미지와 J아파트의 활동적 이미지가 일치하였다. 이는 아파트의 브랜드에 따라 소비자가 인식하는 이미지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향후 아파트 브랜드별 차별화 전략의 중요성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consistency between the brand image of an apartment and the self-image. To this end, the differences in the brand images of each apartment brand were compared and the degree of consistency between the apartment brand image and the self-image was identified.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images by apartment brand, J Apartment was the highest in terms of intimacy, luxury, and activity, and H Apartment was the lowes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sistency between the self-image and the H Apartment brand image, the luxurious image of oneself and the luxurious image of H Apartment were consistent.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sistency between the self-image and the L Apartment brand image, the images did not match in terms of meticulousness, luxury, activity, and creativity.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sistency between the self-image and the J Apartment brand image, the active image of oneself and the active image of J Apartment were consistent.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images perceived by consumers differ depending on the apartment brand, and suggests the importance of a differentiation strategy by apartment bran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연구결과
V.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헤어디자이너의 경력·직무위치와 그릿(Grit)·디지털 리터러시가 생성형 AI 수용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 아파트 브랜드이미지와 자아이미지간의 일치성에 관한 연구
- 탈북민의 자전적 이미지와 정치화의 동인
- 제조업 고용의 미래 : 산업별 변화 패턴 분석
- 대학생의 신체이미지와 긍정심리자본
- 해외 모델에이전시 지점별 남녀 신체 이미지 분석
- 시각이미지에 나타난 교육비와 교육 만족도 간의 연관성 분석
- 지위위협이론 관점으로 본 미용실 스태프 간 괴롭힘 연구
- 고신라 시대의 역사적 인물의 고증을 통한 패션쇼 디자인 기획제작
- 보호자의 미디어 교육 경험과 아동의 미디어 이미지 영향력 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 공동주택 선택시 브랜드 이미지, 인지도, 충성도, 신뢰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 네일아트 이미지의 조형적 분석 방법 제시
- 웹툰배경 이미지작업 방식에 대한 내용분석
- 미용인의 소셜러닝 기반 자기주도학습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MZ세대의 숏폼 콘텐츠 이용요인과 지속사용의도간의 영향관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감성과학분야 BEST
- 명품 소비심리가 브랜드 충성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Z세대를 중심으로
- 긍정심리학과 코칭의 연관성 및 적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라이프코칭 연구동향 및 라이프코칭에 대한 탐색적 연구 -긍정심리기반 중라이프코칭 연구동향 및 라이프코칭에 대한 탐색적 연구 -긍정심리기반 중·장년 대상 관점에서-장년 대상 관점에서-
복합학 > 감성과학분야 NEW
- 헤어디자이너의 경력·직무위치와 그릿(Grit)·디지털 리터러시가 생성형 AI 수용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 아파트 브랜드이미지와 자아이미지간의 일치성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