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시각이미지에 나타난 교육비와 교육 만족도 간의 연관성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Expenditur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Using Visual Text Data
발행기관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학회
저자명
권선희(Sun Hee Kwon)
간행물 정보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제7권 제2호, 128~145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복합학 > 감성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4 서울서베이 가구주 설문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교육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시계열적으로 수집된 신문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워드클라우드 분석을 실시하여 교육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담론 구조를 시각적으로 보완하였다.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결과, 공교육 만족도가 사교육 만족도보다 소폭 높았으며, 전체적으로는 두 영역 모두 중간 이상의 만족도를 보였다. 다중회귀분석에서는 주거환경, 경제환경, 사회환경 만족도가 공교육 및 사교육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제환경 만족도는 사교육 만족도에, 사회환경 만족도는 공교육 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소득은 유의수준 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워드클라우드 분석을 통해 ‘사교육’, ‘가계’, ‘부담’, ‘지출’ 등의 키워드가 두드러지며 사교육 중심의 담론 구조가 사회적으로 강화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정량분석과 텍스트마이닝을 병행함으로써 교육만족도에 대한 다차원적 해석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교육정책 설계 시 생활환경 만족도와 같은 간접적 요인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아울러 교육의 질적 성과, 심리적 만족 등 다양한 지표를 종합적으로 반영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도 제기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factors influencing educational satisfaction using data from the 2024 Seoul Survey of household heads and complements the findings with a word cloud analysis based on time-series newspaper articles. Descriptive and correlational statistics indicate that satisfaction with public education slightly exceeds that of private education, with both rated above average overal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satisfaction with housing, economic, and social environments significantly influences both public and private education satisfaction. Economic satisfaction had a relatively greater effect on private education, while social satisfaction more strongly influenced public education. Income level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5% level. The word cloud analysis highlights keywords such as “private education,” “burden,” and “household expenditure,” underscoring the dominant societal discourse centered on private education. The study contributes by integrating quantitative analysis and text mining, offering a multidimensional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satisfaction. It suggests that future policy planning should account for environmental and socio-psychological factors, beyond conventional economic measures.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선희(Sun Hee Kwon). (2025).시각이미지에 나타난 교육비와 교육 만족도 간의 연관성 분석.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 7 (2), 128-145

MLA

권선희(Sun Hee Kwon). "시각이미지에 나타난 교육비와 교육 만족도 간의 연관성 분석."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 7.2(2025): 128-1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