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신체이미지와 긍정심리자본

이용수  0

영문명
Body Image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발행기관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학회
저자명
김지영(Ji-young Kim) 류현숙(Hyun-sook Ryu)
간행물 정보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제7권 제2호, 90~105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복합학 > 감성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긍정심리자본은 대학생이 직면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긍정적 심리상태로서 성공적인 대학 생활을 위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신체이미지가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일개 종합대학에 재학하는 대학생 195명이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신체이미지와 긍정심리자본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t-검증, 일원량분석, Scheffé test,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신체이미지는 평균 3.46점, 긍정심리자본은 평균 3.45점이었다. 둘째, 긍정심리자본은 학업성적(F=5.651, p= .001)과 주관적 건강상태(F=11.179, p< .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긍정심리자본은 신체이미지(r= .384, p< .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에 대한 영향요인을 살펴보면, 학업성적(β= .250, p< .001), 주관적 건강상태(β= .337, p< .001), 신체이미지(β= .310, p< .001)가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30.7%를 예측하였다(F=29.707, p<.001). 본 연구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신체이미지가 긍정심리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학은 대학생의 신체이미지 제고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통해 긍정심리자본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s a positive psychological state that enables university students to effectively solve problems they encounter in life. It is essential for a successful university experience. This study is descriptive study to examine the impact of body image on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university students. The study involved 195 university students, and body image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ere investiga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one-way analysis, Scheffé 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body image was 3.46, and the averag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3.45.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ccording to academic achievement (F=5.651, p= 001)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F=11.179, p< 001). Thir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body image (r= .384, p< .001). Fourth, the factors influenci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ere academic achievement (β= .250, p< .001), subjective health status (β= .337, p< .001), and body image (β= .310, p< .001), which wer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at 30.7% (F=29.707, p<.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university students' body image is a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thei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refore, universities should consider implementing various strategies to improve college students' body image, thereby enhancing thei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지영(Ji-young Kim),류현숙(Hyun-sook Ryu). (2025).대학생의 신체이미지와 긍정심리자본.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 7 (2), 90-105

MLA

김지영(Ji-young Kim),류현숙(Hyun-sook Ryu). "대학생의 신체이미지와 긍정심리자본."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 7.2(2025): 90-1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