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Social Learning-Based Self-Directed Learning on Learning Satisfaction Among Beauty Professionals
- 발행기관
-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학회
- 저자명
- 장소영(So young Chang) 리순화(Shun hua Li)
- 간행물 정보
-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제7권 제2호, 268~289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감성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용인의 소셜러닝 기반 자기주도학습과 학습만족도 관계에서 자기효능감 및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서울·경기지역 미용인 32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고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자기주도학습은 개방성·자율성·학습동기·문제해결력·지속성으로, 자기효능감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 효능감으로 구분하였다. 응답자의 78.6%가 3개월 이상 소셜러닝을 이용하였고, 헤어미용 분야 활용률이 가장 높았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문제해결력과 학습만족도 간 관계를 완전매개하여 문제해결 중심 학습의 중요성을 입증하였고, 자기조절 효능감도 동일 경로에서 완전매개 효과를 보여 자기조절 능력 증진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학습몰입은 개방성·학습동기·문제해결력·지속성의 영향을 받아 상승하였고, 학습만족도에 가장 강력한 직접효과를 보였다. 특히 문제해결력·지속성은 학습몰입을 통해서 만족도에 작용해 완전매개효과가, 개방성·학습동기는 직접·간접 모두에서 유의한 영향을 보여 부분매개가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소셜러닝이 학습동기 유발과 몰입 향상을 통해 만족도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드러냈다. 미용교육에서 문제해결 중심·몰입 촉진형 소셜러닝 설계가 학습효능감과 만족도를 강화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learning engag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based on social learning and learning satisfaction among 328 beauty professionals in the Seoul and Gyeonggi regions. Self-directed learning was categorized into openness, autonomy, learning motivation, problem-solving ability, and persistence. Self-efficacy was divided into academic and self-regulatory efficacy. A total of 78.6% of participants had used social learning for more than three months, with the highest utilization in the hairdressing field. Academic self-efficacy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solving a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problem-based learning. Similarly, self-regulatory efficacy also showed a full mediating effect, indicating the need to enhance self-regulation skills. Learning engagement was influenced by openness, learning motivation, problem-solving ability, and persistence, and showed the strongest direct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Specifically, problem-solving ability and persistence had full mediating effects through engagement, while openness and learning motivation had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confirming partial mediation. Overall, social learning formed a virtuous cycle that led to satisfaction through enhanced motivation and engagement. The findings suggest that problem-based, engagement-oriented social learning strategies enhance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in beauty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설계
Ⅲ. 결과 분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헤어디자이너의 경력·직무위치와 그릿(Grit)·디지털 리터러시가 생성형 AI 수용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 아파트 브랜드이미지와 자아이미지간의 일치성에 관한 연구
- 탈북민의 자전적 이미지와 정치화의 동인
- 제조업 고용의 미래 : 산업별 변화 패턴 분석
- 대학생의 신체이미지와 긍정심리자본
- 해외 모델에이전시 지점별 남녀 신체 이미지 분석
- 시각이미지에 나타난 교육비와 교육 만족도 간의 연관성 분석
- 지위위협이론 관점으로 본 미용실 스태프 간 괴롭힘 연구
- 고신라 시대의 역사적 인물의 고증을 통한 패션쇼 디자인 기획제작
- 보호자의 미디어 교육 경험과 아동의 미디어 이미지 영향력 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 공동주택 선택시 브랜드 이미지, 인지도, 충성도, 신뢰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 네일아트 이미지의 조형적 분석 방법 제시
- 웹툰배경 이미지작업 방식에 대한 내용분석
- 미용인의 소셜러닝 기반 자기주도학습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MZ세대의 숏폼 콘텐츠 이용요인과 지속사용의도간의 영향관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감성과학분야 BEST
- 명품 소비심리가 브랜드 충성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Z세대를 중심으로
- 긍정심리학과 코칭의 연관성 및 적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라이프코칭 연구동향 및 라이프코칭에 대한 탐색적 연구 -긍정심리기반 중라이프코칭 연구동향 및 라이프코칭에 대한 탐색적 연구 -긍정심리기반 중·장년 대상 관점에서-장년 대상 관점에서-
복합학 > 감성과학분야 NEW
- 헤어디자이너의 경력·직무위치와 그릿(Grit)·디지털 리터러시가 생성형 AI 수용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 아파트 브랜드이미지와 자아이미지간의 일치성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