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eachers’ Growth and Challenges in Project Based Learning: Insights from PBL Research Schools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휴먼인게이지먼트연구소
- 저자명
- 장경원(Kyungwon Chang) 장선영(Sunyoung Chang) 김연경(Yeonkyung Kim)
- 간행물 정보
-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제20권 제3호, 195~22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프로젝트기반학습(Project Based Learning, 이하 PBL)을 설계하고 실행한 교사들이 그 과정에서 어떠한 성장과 어려움을 경험했는지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광역시교육청이 지정한 5개 PBL 연구학교의 교사 25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첫째, 교사들은 PBL 실행과 확대의 두 영역에서 성장을 경험하였다. PBL 실행 영역에서는 지식(PBL 및 학습자 특성에 대한 이해), 태도(PBL 수업에 대한 자신감), 기술(PBL 수업 설계 및 튜터링) 측면의 성장이 이루어졌다. PBL 확대 영역에서는 학교조직 차원의 변화를 위한 노력과 교사 공동체(연구) 활동과 관련된 성장이 나타났다. 둘째, PBL 수업에서 교사들이 경험한 주요 어려움은 PBL 특성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것과 학부모의 민원 대응 등 학교조직과 동료의 도움이 필요한 것이었다. 셋째,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프로젝트기반학습에서의 교사 성장 모형’을 구안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교사의 성장과 어려움은 PBL을 통한 교사 성장의 과정과 내용을 이해하고, 교사를 위한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운영하는 데 실질적인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growth and challenges experienced by teachers who designed and implemented project-based learning (PBL). To achieve thi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5 teachers from five PBL research schools designated by the D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First, teachers experienced growth in two areas: implementing and expanding PBL. In the PBL implementation area, growth occurred in knowledge (understanding of PBL and learner characteristics), attitudes (confidence in PBL teaching), and skills (PBL lesson design and tutoring). In the PBL expansion area, growth was observed in efforts to drive change at the school organizational level and in teacher community (research) activities. Second, the main difficulties teachers experienced in PBL classes were the need for assistance from school organizations and colleagues in understanding and applying the characteristics of PBL and responding to complaints from parents. Third, the research findings were synthesized to develop a “Teacher Growth Model in Project Based Learning.” The content on teacher growth and challenges presented in this study can provide practical basic data for understanding the process and content of teacher growth through PBL and for designing and operating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s for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제20권 제3호 목차
-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 조직 커뮤니케이션과 직무열의의 매개효과
- 유네스코 BEAR 프로젝트 추진 사례 연구
- Q방법론을 활용한 조직 내 Z세대의 회식문화에 대한 인식유형 분석
- 긱 워커(gig worker)의 경력개발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 K대학의 학습역량 진단척도 간편형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국내 팔로워십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양적연구를 중심으로
- 프로젝트기반학습을 경험한 교사의 성장과 어려움: PBL 연구학교 교사들의 의견을 중심으로
-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조직 내 MZ세대 관련 국내 연구동향
- 잡크래프팅의 재개념화: 향상 및 예방 크래프팅의 구성타당도 검증
- 텍스트마이닝에 기반한 국내 대기업 DEI 전략과 실천내용 분석: 인적자원개발 맥락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