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Followership Research: Focusing on Quantitative Studies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휴먼인게이지먼트연구소
- 저자명
- 박효성(Hyosung Park) 소효정(Hyo-Jeong So)
- 간행물 정보
-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제20권 제3호, 163~194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팔로워십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를 다룬 국내 양적연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연구의 일반적 특성과 두 변인 간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PRISMA 절차를 적용하여 2000년부터 2024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총 42편의 논문을 선정·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2005년 이후 연구가 본격화되었으며, 최근 5년간(2020-2024년) 발표된 논문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연구 대상별로는 국내기업이 가장 많았으며, 이어 스포츠조직, 학교조직, 공공기관, 의료조직, 군조직 순이었다. 둘째, 팔로워십은 주로 독립변인으로 활용되었으며, 매개변인과 조절변인으로 활용된 연구도 확인되었다. 셋째, 측정도구는 Colangelo(2000)와 Kelley(1992) 척도의 활용이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국내에서 개발된 도구의 활용은 제한적이었다. 넷째, 조직성과 변인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주로 개인 수준의 심리적 지표 중심으로 측정되었다. 다섯째, 팔로워십이 독립변인으로 설정된 연구에서는 하위요인별로 직무만족, 조직몰입, 직무성과, 조직시민행동, LMX 등에 정(+)의 영향을 보였고, 이직의도에는 부(-)의 영향을 나타냈다. 여섯째, 매개·조절 변인으로 설정된 연구에서는 리더십 특성이 팔로워십을 통해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 효과가 확인되었으며, 하위요인별 효과는 상이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팔로워십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국내 연구의 동향과 영향 구조를 종합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향후 학문적 발전과 실무적 적용을 위한 근거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ystematically analyzed Korean quantitative research to examine the impact of followership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llowing the PRISMA procedure, 42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 from 2000 to 2024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this topic has expanded since 2005, with the highest proportion of publications in the past five years. In terms of research subjects, domestic corporations were most frequently studied, followed by sports organizations, schools, public institutions, healthcare organizations, and the military. Second, followership was most often employ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ough studies using it as a mediating or moderating variable were also identified. Third, Colangelo’s (2000) and Kelley’s (1992) scales were primarily used while domestically developed scales were rarely applied. Four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the most comm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variables and most of these variables were individual-level psychological indicators. Lastly, when followership was us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it positively influenced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Leader-Member Exchange (LMX), while negatively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When used as a mediating or moderating variable, leadership traits influence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directly through followership. These findings offer an overview of domestic research trends and relationships between followership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reby providing a basis for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제20권 제3호 목차
-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 조직 커뮤니케이션과 직무열의의 매개효과
- 유네스코 BEAR 프로젝트 추진 사례 연구
- Q방법론을 활용한 조직 내 Z세대의 회식문화에 대한 인식유형 분석
- 긱 워커(gig worker)의 경력개발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 K대학의 학습역량 진단척도 간편형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국내 팔로워십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양적연구를 중심으로
- 프로젝트기반학습을 경험한 교사의 성장과 어려움: PBL 연구학교 교사들의 의견을 중심으로
-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조직 내 MZ세대 관련 국내 연구동향
- 잡크래프팅의 재개념화: 향상 및 예방 크래프팅의 구성타당도 검증
- 텍스트마이닝에 기반한 국내 대기업 DEI 전략과 실천내용 분석: 인적자원개발 맥락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확장학습이론에 관한 문헌 분석: 국내 문헌을 중심으로
- 대학 강의평가 문항 개선 및 타당화 연구: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교수자 개인 요인이 강의평가에 미치는 영향: D대학 강의평가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