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ase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UNESCO BEAR Project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휴먼인게이지먼트연구소
- 저자명
- 설세훈(Sae-Hun Seol)
- 간행물 정보
-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제20권 제3호, 31~63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우리 정부의 신탁기금 사업으로 유네스코(UNESCO)가 아프리카 국가들의 직업기술교육훈련 체제 혁신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Better Education for Africa’s Rise(BEAR) 사업의 지속적 효과성 제고와 장기적 성과 산출을 가능하게 만든 특정 기제와 구성 요인 특성을 동 사업에 대한 운영 사례분석을 통하여 체계적으로 탐구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한때 국제원조 수혜국이었던 한국이 저개발 국가 대상의 다자성 교육프로젝트 지원으로 공여국의 지위를 획득한 성공 사례는 국제교육 협력 차원과 인적자원 전문성 함양 및 학습역량 개발 과정에 참조할 수 있는 매우 유의미한 정책적 함의점을 가진다. BEAR 사업은 다자성 양자원조(multi-bi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사업으로서 장기적 단계(2011∼2027년)를 거쳐 추진되는 점을 고려하면, 일회성의 단기적 차원으로 수행되는 일반적인 다자성 양자원조 사업과는 구별된다고 할 수 있다. 우리 정부의 위임을 통해 유네스코가 BEAR 사업을 추진하는 특징을 고려하여, 주인-대리인 이론을 분석 틀로써 활용하여 BEAR 사업의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1단계 사업에 참여했던 유네스코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보고서, OECD 보고서, 다자협력 원조에 관한 기존 학술 문헌을 바탕으로 체계적인 문헌 검토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는 궁극적으로 BEAR 사업의 장기적인 추진은 공여국과 다자기구, 그리고 수혜국 모두의 적극적인 참여를 촉진하는 협력적 거버넌스 체계의 구축에서 비롯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협력적 거버넌스 체제는 동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한국 정부, 유네스코 및 수혜국 등 주요 행위자들의 상호 이익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국가 차원의 다자원조 정책 수립과 역량 개발에 활용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고 이에 따른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distinctive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success and longevity of the Better Education for Africa’s Rise (BEAR) project through a case study of the project, which is being promoted by the Korean government as a UNESCO funds-in-trust project to innovate the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TVET) in African countries. The long-term promotion of the BEAR project, from 2011 to 2027, goes against the grain of standard multilateral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which is typically short-term and singular in character. Given the delegation of the project’s promotion to UNESCO by the Korean government, this analysis draws from principal-agent theory to identify the distinguishing mechanisms of the project. This is achieved through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drawing on reports from UNESCO,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KRIVET), which participated in the first phase of the project, as well as OECD reports and prior academic literature on multilateral ODA. This study ultimately finds that the long-term promotion of the BEAR project stems from the establishment of a cooperative governance system which facilitates the active participation of donor countries, multilateral organizations, and recipient countries. This brand of cooperative governance also accelerates the advancement of the mutual interests of key ODA actors (such as the Korean government and UNESCO) during the implementation process. These findings provide a rich and necessary foundation for policy recommendations that can be utilized in the establishment of ODA policy and capacity development on multilateral ODA at the national level.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제20권 제3호 목차
-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 조직 커뮤니케이션과 직무열의의 매개효과
- 유네스코 BEAR 프로젝트 추진 사례 연구
- Q방법론을 활용한 조직 내 Z세대의 회식문화에 대한 인식유형 분석
- 긱 워커(gig worker)의 경력개발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 K대학의 학습역량 진단척도 간편형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국내 팔로워십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양적연구를 중심으로
- 프로젝트기반학습을 경험한 교사의 성장과 어려움: PBL 연구학교 교사들의 의견을 중심으로
-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조직 내 MZ세대 관련 국내 연구동향
- 잡크래프팅의 재개념화: 향상 및 예방 크래프팅의 구성타당도 검증
- 텍스트마이닝에 기반한 국내 대기업 DEI 전략과 실천내용 분석: 인적자원개발 맥락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공감 능력 신장을 위한 음악 감상 교육 방법
- 공감 교육과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적용한 초등학교 음악 창작 수업 설계
- 생태 음악 수업의 효과성 평가를 위한 생태 감수성 측정 문항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