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Abusive Supervision on Adaptation Performanc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Job Engagement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휴먼인게이지먼트연구소
- 저자명
- 조태준(Taejun Cho) 한은혜(Eunhye Han) 김동호(Dongho Kim)
- 간행물 정보
-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제20권 제3호, 1~3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구성원의 적응수행에 미치는 관계에서 조직 커뮤니케이션과 직무열의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 근로자 287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통계 프로그램 SPSS 26.0과 Process Macro V4.2를 활용하여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은 직접적으로 적응수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조직 커뮤니케이션과 직무열의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을 저하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며, 리더의 부정적 행동이 조직 내 경직된 분위기를 조성하여 소통을 위축시킨다는 점을 실증한다. 조직 커뮤니케이션은 직무자원으로서 구성원의 직무열의를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는 다시 직무성과로 이어지는 적응수행을 향상시키는 기반이 된다. 반면,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은 개인의 직무열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해당 현상이 개인적 성향보다는 조직적 관습과 문화의 영향 아래에서 나타날 가능성을 시사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조직 커뮤니케이션과 직무성과로 이어지는 경로를 차단할 수 있는 HRD 전략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abusive supervision on employees’ adaptive performance and to empirically analyze the sequential double mediation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job engagement.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287 office workers employed at large domestic corporations, and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 26.0 and Process Macro V4.2. The results indicated that abusive supervision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adaptive performance; however, it exerted a significant negative indirect effect through the sequential mediation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job engagement. These findings provide empirical evidence that abusive supervision significantly contributes to the decline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s leaders' harmful behaviors create a rigid organizational environment that inhibits open interaction. Consequently, future research should examine abusive supervision through the lens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norms, aiming to develop HRD strategies that can disrupt the mechanisms by which negative leadership behaviors undermin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ultimately, job performanc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제20권 제3호 목차
-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 조직 커뮤니케이션과 직무열의의 매개효과
- 유네스코 BEAR 프로젝트 추진 사례 연구
- Q방법론을 활용한 조직 내 Z세대의 회식문화에 대한 인식유형 분석
- 긱 워커(gig worker)의 경력개발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 K대학의 학습역량 진단척도 간편형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국내 팔로워십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양적연구를 중심으로
- 프로젝트기반학습을 경험한 교사의 성장과 어려움: PBL 연구학교 교사들의 의견을 중심으로
-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조직 내 MZ세대 관련 국내 연구동향
- 잡크래프팅의 재개념화: 향상 및 예방 크래프팅의 구성타당도 검증
- 텍스트마이닝에 기반한 국내 대기업 DEI 전략과 실천내용 분석: 인적자원개발 맥락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