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the Career Development of Gig Workers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휴먼인게이지먼트연구소
- 저자명
- 손명진(Myoungjin Son) 조대연(Daeyeon Cho) 이윤수(Yunsoo Lee)
- 간행물 정보
-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제20권 제3호, 97~131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긱 워커(gig worker)가 경력개발 과정에서 직면하는 주요 제약 요인을 도출하고, 이에 따른 지원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체계적 문헌분석을 실시하였고, 구체적으로 2025년 8월 ProQuest, RISS, DBpia, KISS에서 ‘gig’과 ‘career’를 키워드로 검색해 최종적으로 총 50편의 문헌(영문 39편, 국문 11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긱 워커의 경력개발을 제약하는 주요 요인으로 경력 성장 기회의 부족, 경력 정체성 형성의 어려움, 경력 네트워크 단절, 경력 이동성 제약, 경제적 불안정성이 도출되었다. 둘째, 긱 워커의 경력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주요 방안으로 경력 네트워크 구축 및 멘토링 지원, 역량 개발 기회의 확대, 사회보장제도 및 법적 보호 강화 등이 도출되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실천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analyze research on the career development of gig workers by identifying the primary constraints they face and the interventions designed to support their career development.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by searching for the keywords “gig” and “career” in ProQuest, RISS, DBpia, and KISS in August 2025, resulting in the selection of 50 articles (39 in English and 11 in Korean). First, key barriers to gig workers’ career development were identified, including a lack of career growth opportunities, difficulties in forming a career identity, disconnection from career networks, limited career mobility, and economic insecurity. Second, interventions to support their career development were identified, including building career networks, providing mentoring programs, and expanding opportunities for skill development, and strengthening social security systems and legal protec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proposes avenues for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제20권 제3호 목차
-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 조직 커뮤니케이션과 직무열의의 매개효과
- 유네스코 BEAR 프로젝트 추진 사례 연구
- Q방법론을 활용한 조직 내 Z세대의 회식문화에 대한 인식유형 분석
- 긱 워커(gig worker)의 경력개발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 K대학의 학습역량 진단척도 간편형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국내 팔로워십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양적연구를 중심으로
- 프로젝트기반학습을 경험한 교사의 성장과 어려움: PBL 연구학교 교사들의 의견을 중심으로
-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조직 내 MZ세대 관련 국내 연구동향
- 잡크래프팅의 재개념화: 향상 및 예방 크래프팅의 구성타당도 검증
- 텍스트마이닝에 기반한 국내 대기업 DEI 전략과 실천내용 분석: 인적자원개발 맥락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확장학습이론에 관한 문헌 분석: 국내 문헌을 중심으로
- 대학 강의평가 문항 개선 및 타당화 연구: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교수자 개인 요인이 강의평가에 미치는 영향: D대학 강의평가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