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ediating Effect of Teacher Leade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Sense of Calling and Teacher Efficacy
- 발행기관
-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 저자명
- 정재은(Jae Eun Jung)
- 간행물 정보
- 『교육과학습: Global Creative Leader』제15권 3호, 45~6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소명의식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리더십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K도 소재 어린이집 교사 200명을 편의표집하여 소명의식, 교사효능감, 교사리더십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연구자료는 SPSS와 Process Macro(Model 4)를 활용하여 정규성 검증, Pearson 상관분석, 부트스트랩핑(5,000회) 기반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영유아교사의 소명의식, 교사효능감, 교사리더십 간에는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소명의식은 교사리더십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교사리더십은 교사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나아가 소명의식과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는 교사리더십에 의해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영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향상을 위해서 소명의식뿐 아니라 교사리더십 함양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교사효능감 향상을 위해 소명의식과 함께 교사리더십 역량을 강화하는 연수와 제도적 지원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leade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sense of calling and teacher efficacy. A total of 200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childcare centers in K Province were conveniently sampl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to measure their sense of calling,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leadership.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PROCESS Macro (Model 4) through normality test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5,000 samples) for mediat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first,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eachers’ sense of calling,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leadership. Second, the sense of call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eacher leadership, and teacher leadership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eacher efficacy. In addition, the direct effect of the sense of calling on teacher efficacy was not significant when teacher leadership was included, indicating a full mediating effect of teacher leadership. These findings highlight that, in order to enhance teacher efficac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cultivate not only a sense of calling but also teacher leadership. Therefore, strengthening teacher leadership competencies through training and institutional support, alongside fostering a sense of calling, is essential for improving teacher efficac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지지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학업열의와 학업탄력성의 매개효과
- 청소년 인권침해와 인권의식 관계에서 자녀 의사결정 존중, 학생 정보 보호, 학생 참여 존중의 조절효과
- 영유아교사의 소명의식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리더십의 매개효과 분석
- 토픽모델링과 의미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중등학교 학기제 교육실습 연구 동향 분석
-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교사의 전문성 개발 인식 유형과 영향요인 탐색
- 대학 교수자의 교수역량 중요도-실행도 기반 유형 분석: FIND 교수역량 진단 문항을 중심으로
- 외국인 학생을 위한 대학 교육만족도 척도 개발
- 대학의 교양인증제 개발 및 적용 연구: S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동물학대와 가정폭력 및 아동학대의 연관성: 국외 연구의 고찰과 국내 현황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수학 예비교사의 AIDT에 대한 기대와 활용
- 예비교사의 ‘설계-실행-재설계’ 과정에 기반한 교사 설계 역량 프레임워크의 정교화
- 대규모 수학 평가 문항에서의 인지·행동 영역 분류와 교사의 이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