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Faculty Teaching Competencies: Focusing on the FIND Diagnostic Items
- 발행기관
-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 저자명
- 송나리(Naree Song) 도수정(Soojung Do)
- 간행물 정보
- 『교육과학습: Global Creative Leader』제15권 3호, 121~15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 교수자의 교수역량을 체계적으로 진단하고, 중요도-실행도 기반의 유형 분석을 통해 대학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맞춤형 교수지원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강원특별자치도 S대학 전임교원 254명을 대상으로 FIND 교수역량 진단 문항을 활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175명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진단 도구는 기본역량, 강의개발 역량, 학생평가 및 피드백 역량, 학생참여 촉진 역량, 강의평가 및 성찰 역량의 5개 하위영역, 총 2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활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 군집분석, 중요도-실행도 분석(IPA) 등을 활용하였으며, 모든 통계적 유의성은 .05 수준에서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전반적으로 모든 하위역량에서 중요도 평균이 실행도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학생참여 촉진역량과 강의평가 및 성찰 역량에서 중요도-실행도 간 격차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둘째, K-평균 군집분석을 통해 교수자는 저인식-소극형, 고인식-주도형, 중인식-성장형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셋째, IPA 분석 결과는 교수역량은 강점 유지형(핵심 유지 영역), 집중 개선형(우선 개선 영역), 자원 재배치형(효율 조정 영역), 관찰 유지형(잠정적 관리 영역)의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는 유형별 특성에 따라 우선 개선 영역과 핵심 유지 영역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대학 차원의 교수역량 강화와 교육 질 향상을 위한 실질적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iagnose the teaching competencies of university faculty and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establishing customized faculty support strategies to enhance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254 full-time faculty members at S University in Gangwon-do using the FIND Teaching Competency diagnostic items, and 175 respons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diagnostic tool consisted of 25 items across five sub-domains: basic competencies, course development, student evaluation and feedback, student engagement, and course evaluation and reflec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aired-samples t-tests, cluster analysis,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with the significance level set at .0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ceived importanc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erformance for all sub-competencies, with the largest gaps found in student engagement and course evaluation and reflection. Second, a K-means cluster analysis classified the faculty into three types: low-perception/passive, high-perception/proactive, and mid-perception/growth. Third, the IPA results categorized the teaching competencies into four quadrants: Keep Up the Good Work (strengths), Concentrate Here (priority for improvement), Possible Overkill (resource reallocation), and Low Priority (observation). By identifying specific areas for priority improvement and maintenance based on competency types,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empirical data for strengthening faculty competencies and improving educational quality at the university level.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지지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학업열의와 학업탄력성의 매개효과
- 청소년 인권침해와 인권의식 관계에서 자녀 의사결정 존중, 학생 정보 보호, 학생 참여 존중의 조절효과
- 영유아교사의 소명의식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리더십의 매개효과 분석
- 토픽모델링과 의미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중등학교 학기제 교육실습 연구 동향 분석
-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교사의 전문성 개발 인식 유형과 영향요인 탐색
- 대학 교수자의 교수역량 중요도-실행도 기반 유형 분석: FIND 교수역량 진단 문항을 중심으로
- 외국인 학생을 위한 대학 교육만족도 척도 개발
- 대학의 교양인증제 개발 및 적용 연구: S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동물학대와 가정폭력 및 아동학대의 연관성: 국외 연구의 고찰과 국내 현황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