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 between Animal Abuse and Domestic Violence/Child Abuse: A Review of the Overseas Evidence and Domestic Status
- 발행기관
-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 저자명
- 유경원(Kyong Won Yoo) 윤민중(Min Jung Yoon) 양가영(Ka Young Yang) 박춘성(Choon Sung Park) 허영태(Young Tae Heo)
- 간행물 정보
- 『교육과학습: Global Creative Leader』제15권 3호, 197~21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동물학대와 아동학대 간의 상호 연관성을 조사하고, 두 학대 행위가 가정폭력 및 사회적 폭력의 연속선상에서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조사하였다. 동물학대는 단순히 동물을 대상으로 한 폭력에 그치지 않고, 인간에게 가해지는 폭력으로 확장될 수 있는 전조 행위이자 예측 지표로서 기능하다. 가정폭력과 동물학대는 높은 동시발생률을 보였으며, 특히 아동학대와의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아동학대와 동물학대가 동시에 발생하는 비율은 매우 높았으며, 동물에게 가해지는 학대수준은 가정 내 폭력의 심각성을 반영하는 지표로 작용한다. 또한, 아동이 성장 과정에서 동물학대를 목격하거나 직접 경험할 경우, 폭력을 정상화하고 내면화하여 성인이 된 후 동물이나 인간을 대상으로 한 폭력을 반복할 가능성이 크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이는 폭력의 세대 간 전이를 설명하며, 아동기의 동물학대 경험이 청소년 비행과 성인기 대인폭력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동물학대는 단순한 동물 보호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가정폭력 및 아동학대의 위험성을 조기에 감지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임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동물학대를 조기 발견하고 개입하는 것이 아동 보호와 사회적 폭력 예방에 있어 핵심적인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며, 국내 정책의 개선과 법적 대응의 강화 필요성을 제언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international papers to present the connection between animal abuse and domestic violence/child abuse, while also reviewing domestic status. Animal abuse is not merely an act of violence against animals but also serves as a precursor and predictive indicator of potential violence toward humans. The findings reveal a high co-occurrence rate between domestic violence/child abuse and animal abuse. Cases where both child abuse and animal abuse occur simultaneously were notably prevalent, Furthermore, when children witness or directly experience animal abuse during their developmental years, they are more likely to normalize and internalize violence, increasing the likelihood of perpetuating violent behaviors toward both animals and humans in adulthood. Consequently, animal abuse should be recognized not only as an animal welfare issue but also as a critical early indicator for identifying risks of domestic violence and child abuse. The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early detection and intervention in cases of animal abuse as a key strategy for child protection and the prevention of broader social violence.
목차
Ⅰ. 서 론
Ⅱ. 가정폭력과 동물학대
Ⅲ. 아동학대와 동물학대
Ⅳ. 국외의 동물학대에 대한 인식, 정책, 처벌
Ⅴ. 국내의 동물학대 및 아동학대에 대한 연구와 정책
Ⅵ.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지지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학업열의와 학업탄력성의 매개효과
- 청소년 인권침해와 인권의식 관계에서 자녀 의사결정 존중, 학생 정보 보호, 학생 참여 존중의 조절효과
- 영유아교사의 소명의식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리더십의 매개효과 분석
- 토픽모델링과 의미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중등학교 학기제 교육실습 연구 동향 분석
-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교사의 전문성 개발 인식 유형과 영향요인 탐색
- 대학 교수자의 교수역량 중요도-실행도 기반 유형 분석: FIND 교수역량 진단 문항을 중심으로
- 외국인 학생을 위한 대학 교육만족도 척도 개발
- 대학의 교양인증제 개발 및 적용 연구: S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동물학대와 가정폭력 및 아동학대의 연관성: 국외 연구의 고찰과 국내 현황
참고문헌
- 한국치안행정논집
- 한국여성학
-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 영재와영재교육
- 놀이치료연구
- Journal of Emotional Abuse
- Violence Against Women
- Criminal Behavior and Mental Health
-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Child Abuse and Neglect
- International Journal of Offender Therapy and Comparative Criminology
- Child Abuse & Neglect
- International Journal for the Study of Animal Problems
- Journal of Family Violence
- Violence Against Women
- Arch Pediatr Adolesc Med
-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 Clinical Psychology Review
- Social Work Research
-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 Society & Animals
- Animals (Basel)
-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 Psychology of Violence
-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 Animals (Basel)
- Child Abuse & Neglect
- International Journal of Offender Therapy and Comparative Criminology
- Trauma, Violence, & Abuse
-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 Springer
- Psychology, Crime & Law
- Journal of Community Health
- Society & Animals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GKS 유학생의 교우관계와 교차성: 한국어 연수과정과 학위과정의 교우관계 형성 및 변화에 대한 질적 분석
- 미국 주 단위 학업성취도 평가 사례를 통한 국내 컴퓨터 기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제언
- 국가 교육과정 개정에서의 ‘교사 참여’ 양상 탐색: 핀란드 사례가 한국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