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Psycho-therapeutic Functions through Skin Beauty Care Experiences
- 발행기관
- 글로벌융합연구학회
- 저자명
- 이정민(Jung-min Lee) 양수미(Su-mi Yang)
- 간행물 정보
- 『글로벌융합연구학회지』제4권 제3호, 49~7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피부미용 관리가 단순한 외적 관리 행위를 넘어 심리적 치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탐색하기 위해 문제중심 인터뷰를 실시하고, Colaizzi의 7단계 절차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피부미용 관리 경험은 감각 기반 이완과 정서 환기, 공감적 관계 형성과 심리적 지지, 외적 변화와 효능감 회복, 자기 인식과 스트레스 해소, 구조화된 안정과 심리적 안녕감의 다섯 주제로 도출되었다. 이는 피부미용 관리가 외모 개선을 넘어 정서적 안정과 웰빙을 촉진하는 잠재적 자원임을 보여준다. 또한 연구 결과는 피부미용 관리 경험이 정서중심치료(EFT)에서 강조하는 감정 인식·표현·재구성과 유사한 과정을 포함하며, 일상적·예방적 정신건강 돌봄의 대안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피부미용 관리가 미용학의 학문적 지평을 확장할 뿐 아니라, 향후 ‘미용심리치료사’ 제도화와 같은 융합 직무 개발의 근거 자료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whether skin beauty care can function not only as an external aesthetic practice but also as a psychotherapeutic resource. A qualitative design was employed using problem-centered interviews with ten adults who had received regular skin beauty care for more than six months. Data were analyzed using Colaizzi’s seven-step phenomenological method. Five themes emerged: sensory-based relaxation and emotional ventilation, empathic relationships and psychological support, external transformation and recovery of self-efficacy, self-awareness and stress reduction, and structured stabi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skin beauty care extends beyond cosmetic enhancement, fostering emotional stability and contributing to well-being. Participant experiences also showed parallels with Emotion-Focused Therapy (EFT), particularly in emotional awareness, expression, and reorganization. This suggests that skin beauty care, even in non-medical and everyday contexts, may activate therapeutic mechanisms that support emotional healing.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providing empirical evidence that skin beauty care can operate as a preventive and supportive mental health resource. Beyond aesthetic outcomes, it highlights the potential for developing integrative professions such as the “beauty psychotherapist,” thereby expanding the academic scope of beauty studies and contributing to interdisciplinary practic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설계
4. 결과 및 논의
5.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3~4학년 음악교과서 내 환경·지속가능발전 내용 분석 및 관련 연구동향 분석
- 표면행위의 감정노동이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조직기반자긍심의 매개효과와 TMX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미·중, 산업기술 실태 분석을 통한 미래산업 경쟁력 연구
- 피부미용 관리 과정에서 나타나는 심리치료적 기능 탐색
- SNS 인플루언서 마케팅이 소비자의 신뢰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OTT 서비스의 지속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 쿠팡플레이를 중심으로
- NCS 기반의 디자인 교육이 학습자의 교육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사물인터넷(IoT) 기반 스마트홈 제품의 기능적 특성이 사용자 만족 및 지속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품질요인의 재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OTT를 중심으로
- 자율주행차 특성이 자율주행차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적 평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AI 에이전트의 기능적·정서적 혜택이 감성적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MZ세대 여부의 조절 효과
- 산지 소유자의 산지연금형 사유림매수임지 사업 이용의향에 관한 연구
- 구독경제 서비스의 만족도와 지속 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부동산거래 전자계약시스템(IRTS) 이용자의 활용인식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영유아교육기관의 전문성 지원 환경이 영유아교사의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 전문성 인식과 교사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A Preliminary Analysis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Model of Traditional Ethnic Villages in China:The Case of PengJia Zhai, a Tujia Village in Hubei Province
- 도보관광동기가 가치, 태도,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초등학교 3~4학년 음악교과서 내 환경·지속가능발전 내용 분석 및 관련 연구동향 분석
- 표면행위의 감정노동이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조직기반자긍심의 매개효과와 TMX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미·중, 산업기술 실태 분석을 통한 미래산업 경쟁력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