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on Early Chilehood Teachers’ Role Perfomance :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Professionalism Perception and Teacher Efficacy
- 발행기관
- 글로벌융합연구학회
- 저자명
- 이예지(Ye Ji Lee) 유영미(Youngmi Ryu)
- 간행물 정보
- 『글로벌융합연구학회지』제4권 제3호, 209~22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무상보육 및 양육지원 정책에 힘입어 우리나라 영유아의 기관이용률이 증가하면서 영유아교육의 질의 토대가 되는 영유아교사가 수준 높게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관련 변인들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영유아교육기관의 전문성 지원환경과 영유아교사의 역할수행의 관계에서 전문성 인식과 교사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소재 영유아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영유아교사 399명이었다. 자료 수집은 온라인 질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사전 분석으로 기술통계 및 일원변량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한 후, 본 분석으로 SPSS PROCESS Macro model 6를 활용하여 순차적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고 부트스트래핑방법으로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영유아교육기관의 전문성 지원환경은 영유아교사의 역할수행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전문성 인식과 교사효능감을 통해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순차적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전문성 지원환경이 영유아교사의 역할수행에 미치는 직접효과 뿐 아니라, 영유아교사가 외부의 지원을 내면화하여 실제 행동으로 옮기는데 있어 교사로서의 전문성 인식 및 교사효능감이라는 교사 개인의 심리적 요인을 경유하는 간접효과의 중요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따라서 영유아교육기관은 교사가 전문성을 높이 인식하고 이를 통해 교사효능감을 신장시켜 영유아교사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함으로써 영유아교육의 질적 수준 고양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전문성 지원 환경을 구현해야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With the increasing util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ECEC) institutions in South Korea—driven by policies supporting free childcare and parenting assistance—there is growing interest in the factors that enabl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perform their roles effectively, which are foundational to the quality of ECEC. This study examine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teachers’ professionalism perception and teacher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of ECEC institutions and teachers’ role performance. A total of 399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study, with data collected via an online questionnaire. Descriptive statistics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as preliminary analyses, followed by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he main analysis employed SPSS PROCESS Macro Model 6 to test sequential mediation, and bootstrapping was used to verif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s.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had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teachers’ role performance, with teachers’ professionalism perception and teacher efficacy serving as significant sequential mediators. These result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factors in internalizing external support and translating it into professional practice. The study suggests that ECEC institutions should cultivate environments that enhance teachers’ professionalism perception and efficacy, thereby contributing to the overall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설계
4. 실증분석 및 결과
5.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3~4학년 음악교과서 내 환경·지속가능발전 내용 분석 및 관련 연구동향 분석
- 표면행위의 감정노동이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조직기반자긍심의 매개효과와 TMX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미·중, 산업기술 실태 분석을 통한 미래산업 경쟁력 연구
- 피부미용 관리 과정에서 나타나는 심리치료적 기능 탐색
- SNS 인플루언서 마케팅이 소비자의 신뢰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OTT 서비스의 지속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 쿠팡플레이를 중심으로
- NCS 기반의 디자인 교육이 학습자의 교육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사물인터넷(IoT) 기반 스마트홈 제품의 기능적 특성이 사용자 만족 및 지속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품질요인의 재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OTT를 중심으로
- 자율주행차 특성이 자율주행차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적 평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AI 에이전트의 기능적·정서적 혜택이 감성적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MZ세대 여부의 조절 효과
- 산지 소유자의 산지연금형 사유림매수임지 사업 이용의향에 관한 연구
- 구독경제 서비스의 만족도와 지속 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부동산거래 전자계약시스템(IRTS) 이용자의 활용인식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영유아교육기관의 전문성 지원 환경이 영유아교사의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 전문성 인식과 교사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A Preliminary Analysis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Model of Traditional Ethnic Villages in China:The Case of PengJia Zhai, a Tujia Village in Hubei Province
- 도보관광동기가 가치, 태도,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초등학교 3~4학년 음악교과서 내 환경·지속가능발전 내용 분석 및 관련 연구동향 분석
- 표면행위의 감정노동이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조직기반자긍심의 매개효과와 TMX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미·중, 산업기술 실태 분석을 통한 미래산업 경쟁력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