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액티브 시니어를 위한 문화예술 앱 UX 기능 도출 및 설계 전략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UX Feature Derivation and Design Strategies for Cultural Arts Applications for Active Seniors
발행기관
한국상품학회
저자명
차주연(Ju-Yeon Cha) 유하연(Ha-Yeon Yoo)
간행물 정보
『상품학연구』제43권 제4호, 131~140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령층의 문화예술 활동은 삶의 질 향상과 사회 참여 촉진의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모바일 기술은 이를 지원하는 주요 도구로 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는 액티브 시니어의 문화예술 취미 활동 참여를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사용 경험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고령 사용자에게 적합한 핵심 사용자 경험(UX)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고령층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점진적으로 향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대부분의 문화예술 플랫폼은 여전히 청장년층 중심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액티브 시니어의 인지적 특성과 감성적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몰입, 감성, 자기표현 등 감각적·심리적 상호작용이 중요한 문화예술 콘텐츠 영역에서는 시니어의 실제 사용 맥락을 반영한 UX 분석 연구가 매우 제한적인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은퇴 전후 여가 시간과 자기계발 욕구가 높은 액티브 시니어를 대상으로, 문화예술 애플리케이션 사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경험의 흐름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였다. 25명의 액티브 시니어를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1:1 인터뷰를 실시하고, 정성적 데이터 분석을 통해 고객 여정 맵(Customer Journey Map)을 재구성하였다. 이후 도출된 기회 영역을 바탕으로 UX 기능을 설계하고, 사용 시나리오, 인포메이션 아키텍처(Information Architecture), 유저 플로우(User Flow), 와이어프레임을 개발하였다. 또한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UX 기능의 상대적 중요도와 사용자 선호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액티브 시니어는 ‘직관성’, ‘정서적 연결’, ‘맞춤성’, ‘성취감’, ‘반복 가능성’과 관련된 기능들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실제 액티브 시니어를 대상으로 한 질적 및 정량적 연구를 기반으로 UX 기능을 체계화함으로써, 문화예술 기반 디지털 서비스의 사용성 향상과 고령층의 문화 접근성 제고를 위한 실천적 디자인 전략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Cultural and artistic engagement among older adults is increasingly recognized as a means to improve quality of life and promote social participation. Mobile technology has emerged as a key tool to support this engagemen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user experience (UX) of mobile applications used by active seniors in cultural and artistic hobby activities and to identify core UX features appropriate for this user group. Despite the gradual improvement in digital literacy among older adults, most cultural and artistic platforms remain designed for younger generations, failing to fully reflect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emotional needs of active seniors. In particular, UX research considering real usage contexts of seniors is notably lacking in cultural content domains, where immersion, emotional resonance, and self-expression are essential. To address this gap, this study focused on active seniors with a strong desire for self-development and available leisure time around retirement. In-depth semi-structured one-on-on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5 active seniors, and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to reconstruct a customer journey map. Based on identified opportunity areas, key UX features were designed, including use scenarios, information architecture, user flows, and wireframes. Additionally,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method was applied to quantitatively assess the relative importance and user preferences for each UX func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active seniors value features related to intuitiveness, emotional connection, personalization,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repeatability. By systematizing UX features grounded in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with actual users, this study proposes practical design strategies to enhance the usability of digital cultural services and improve cultural accessibility for older adul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차주연(Ju-Yeon Cha),유하연(Ha-Yeon Yoo). (2025).액티브 시니어를 위한 문화예술 앱 UX 기능 도출 및 설계 전략 연구. 상품학연구, 43 (4), 131-140

MLA

차주연(Ju-Yeon Cha),유하연(Ha-Yeon Yoo). "액티브 시니어를 위한 문화예술 앱 UX 기능 도출 및 설계 전략 연구." 상품학연구, 43.4(2025): 131-1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