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re-Flight Safety Briefing and Physical Perceived Risk among Airline Passengers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김유경(Yu Kyoung Kim)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43권 제4호, 45~52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항공여행객은 항공여행을 앞두고 심리적인 스트레스와 압박을 경험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항공기에서는 이륙 전에 승객 안전 브리핑을 실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승객안전브리핑이 승객의 심리적 스트레스와 압박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인지 확인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승객안전브리핑(안전장비, 비상 탈출 안내, 일반 안전정보)이 신체적 지각된 위험, 항공사 신뢰, 재구매의도와의 관계를 확인하는데 있다. 설문은 2024년 9월에 300부를 배포하였고, 설문에 활용된 유효표본수는 283부이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SPSS 15와 AMOS 7를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승객안전브리핑중 안전장비와 일반 안전정보는 신체적 지각된 위험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으나 승객안전브리핑의 비상 탈출 안내는 신체적 지각된 위험에 유의한 영향관계가 없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그리고 신체적 지각된 위험은 재구매의도 및 항공사 신뢰에 각각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항공사 신뢰는 재구매의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따라서 항공여행에 대한 두려움은 단순한 불안감을 넘어서는 특별한 문제로 볼 수 있으며, 이는 항공사의 승객 안전 브리핑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에 따라 항공사는 이러한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적극적인 대응과 전략 마련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Airline passengers often experience psychological stress and pressure before air travel. Accordingly, airlines conduct pre-flight safety briefings before takeoff. It is therefore meaningful to examine whether these safety briefings are effective in reducing passengers' psychological stress and anx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flight safety briefings, physical perceived risk, airline trust, and travel intention. A survey was distributed in September 2024 with 300 copies, and the valid sample used for the analysis consisted of 283 response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SPSS 15 and AMOS 5 were utilized for the analysis.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safety equipment and general safety information during pre-flight safety briefing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hysical perceived risk, while emergency evacuation instructions showe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physical perceived risk. Additionally, physical perceived risk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repurchase intention or airline trust, but airline trust significantly influenced repurchase intention. Therefore, fear of air travel can be seen as a significant issue that goes beyond mere anxiety, suggesting the need for a reassessment of pre-flight safety briefings. Accordingly, airlines are required to take proactive measures and develop strategies to help alleviate such fears.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관광지 VR 영상과 일반 동영상의 효과 비교: 관광지 VR 체험요소와 지각된 가치, 몰입과 행동의도를 중심으로
- 항공여행객이 지각하는 승객안전브리핑과 신체적 지각된 위험과의 관계 연구
- 선험 만족, 구전, 거래 투명성과 사회적 존재감이 소셜커머스 소비자의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업사이클드 식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구매 행동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 MZ세대 소비자를 중심으로
- ESG 지향점과 공급사슬 협력이 공급사슬 성과에 미치는 전략적 영향 연구
- 액티브 시니어를 위한 문화예술 앱 UX 기능 도출 및 설계 전략 연구
- 다차원적 정서모형의 슬픔 강도가 부정적 욕구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e-Commerce 검색량과 구매량, 폭식, 음주, 강박현상을 중심으로
- Silver Influencers’ Touch: The Power of Perceived Closeness in Driving Collaboration Products Preference
- ESG 경영이 브랜드 확장평가에 미치는 영향: 따뜻함과 호혜지각의 이중매개효과
- 숏폼 쇼핑 큐레이션 콘텐츠 특성에 따른 소비자 반응의 차이에 관한 연구
- 식품사의 ESG 경영이 MZ소비자의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K-ESG 가이드라인 기반 측정 및 목적지향성/지속가능소비성향의 조절효과
- Relationship Matters: How Vietnamese Consumers’ Relational Experience Influences Trust and Brand Advocacy
- When Are Two-Sided Reviews More Persuasive?: The Moderating Role of Regulatory Focus in Online Review Evaluation
- 메타버스 시대 럭셔리 브랜드 광고의 진정성과 설득력: 브랜드 헤리티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예술경영연구 제75집 목차
- 문화적 자선의 실천으로서 사립미술관 경영 - 정신·실천·성과·가치의 순환 구조와 정책적 시사
- 광주비엔날레와 글로컬리즘 - 국제큐레이터코스(GBICC)의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