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업사이클드 식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구매 행동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 MZ세대 소비자를 중심으로

이용수  5

영문명
An Exploratory Study on Consumer Perceptions and Purchasing Behavior toward Upcycled Foods: Focusing on Korean MZ Consumers
발행기관
한국상품학회
저자명
사카모토 치카(Sakamoto, Chika) 조혜정(Hyejeung Cho)
간행물 정보
『상품학연구』제43권 제4호, 61~72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식품 폐기물로 인한 환경적, 경제적 문제가 심화되면서 지속가능한 해결책으로 식품 업사이클링(food upcycling)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폐기되는 식품 부산물을 활용하여 만든 업사이클드 식품에 대한 한국 MZ세대 소비자의 인식, 태도, (재)구매 행동 및 그에 대한 영향 요인을 질적 접근을 통해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시장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업사이클드 식품 산업 종사자 3인과의 인터뷰를 통해 시장 현황을 파악하고 MZ세대 여성 소비자 21명(구매 경험자 9명, 비경험자 12명)을 대상으로 1:1 심층 인터뷰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업사이클드 식품 비경험자 그룹에서는 제품 시식 전후의 인식 및 태도 변화를 관찰하였고 구매자 그룹에서는 제품 구매 동기 및 재구매 관련 요인을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인터뷰 결과, 제품 차원에서는 업사이클드 식품의 감각적 특성(맛)과 가격, 친환경성, 건강성, 안전성, 접근성, 다양성 등이 주요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업사이클링’이라는 용어는 폐기물과 음식물 쓰레기를 연상시켜 소비자의 초기 인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제품 경험을 통해 소비자의 태도가 긍정적으로 전환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일부 소비자에게는 제품의 친환경성보다 건강성이 구매 동기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제품의 낮은 접근성과 다양성 부족은 (재)구매 저해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한편, 소비자의 가치소비 지향성과 환경 및 건강에 대한 관여도, 지속가능성과 건강을 추구하는 사회문화적 트렌드는 구매 촉진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구매자와 비구매자를 모두 연구 대상으로 포함하고 소비자 경험에 기반한 질적 접근 방식을 한국적 맥락에서 적용함으로써 주로 서구 중심적이고 양적 접근법에 치우쳐 있던 기존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는 데 학문적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는 또한 후속 양적 연구를 위한 의미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국내 업사이클드 식품 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기업의 마케팅 전략, 정부 정책, 소비자 교육 프로그램 설계에도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With growing concerns over food waste, food upcycling is gaining attention as a sustainable solution. This study explores Korean MZ consumers’ perceptions, attitudes, and (re)purchase behaviors toward upcycled foods—products made from food by-products—and identifies influencing factors through a qualitative approac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industry professionals and 21 female MZ consumers (9 purchasers and 12 non-purchasers). For those without prior product experience, changes in perception before and after product tasting were also observed. Results indicate that sensory attributes (especially taste), price, eco-friendliness, healthiness, safety, accessibility, and product variety are key factors. The term ‘upcycling’ initially evoked negative associations with food waste, but many participants showed more favorable attitudes after tasting. Some purchasers were driven more by health benefits than environmental values. A lack of accessibility and product diversity discouraged repeat purchases among prior buyers. In addition, consumers’ value-driven consumption orientation, involvement with environmental and health issues, and the broader sociocultural trends emphasizing sustainability and wellness were identified as relevant facilitators of upcycled food consumption. This study fills a gap in the literature by applying a qualitative approach that includes both purchasers and non-purchasers within the Korean context, addressing the limitations of prior research that has been largely Western-centric and quantitative. The findings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marketing strategies, government policy, and consumer education aimed at promoting the upcycled food market in South Korea.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목적 및 연구 문제
Ⅳ. 연구 방법
Ⅴ. 연구 결과
Ⅵ.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사카모토 치카(Sakamoto, Chika),조혜정(Hyejeung Cho). (2025).업사이클드 식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구매 행동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 MZ세대 소비자를 중심으로. 상품학연구, 43 (4), 61-72

MLA

사카모토 치카(Sakamoto, Chika),조혜정(Hyejeung Cho). "업사이클드 식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구매 행동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 MZ세대 소비자를 중심으로." 상품학연구, 43.4(2025): 61-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