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mpact of Consumers' Perception of CCM (Consumer-Centered Management) Certified Companies on Usage Intention : The Mediating Effects of ESG Management Expectations and Attitudes
- 발행기관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 저자명
- 박수황(Soo-Hwang Park) 장경배(Kyung-Bae Jang)
- 간행물 정보
- 『인적자원관리연구』제32권 제3호, 125~14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경영이 기업 경쟁력의 핵심 요소로 부상하면서, 소비자들은 단순한 가격과 품질 기준을 넘어 기업의 지속가능성과 사회적 책임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또한, 국내에서는 소비자중심경영(CCM: Consumer-Centered Management) 인증이 소비자 신뢰를 상징하는 중요한 지표로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기업이 ESG 경영을 실천하거나 CCM 인증을 보유하더라도, 소비자의 신뢰와 행동 의도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진정성 있는 실천과 일관된 노력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CCM 인증 인식이 기업에 대한 태도 및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ESG 경영 기대와 기업 태도의 매개효과를 함께 검토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SEM)을 활용한 분석 결과, 소비자의 CCM 인증 인식은 ESG 경영 기대, 기업 태도, 이용 의도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ESG 경영 기대와 기업 태도 역시 이용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업 태도가 소비자의 이용 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임이 확인되었다. 이는 계획된 행동 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의 관점에서 소비자의 긍정적인 태도가 실제 행동으로 이어지는 핵심 요인임을 실증적으로 보여준다. 본 연구는 CCM 인증이 소비자 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소비자 인식과 행동 간의 인지-정서-행동 경로를 명확히 제시하였다. 또한, 실무적으로는 CCM 인증과 ESG 경영을 연계한 전략적 마케팅 방안 마련에 기여할 수 있으며, 소비자 신뢰와 장기적 이용 의도 증진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종단적 연구 설계와 다양한 소비자 특성을 고려한 확장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how consumer perceptions of Consumer-Centered Management (CCM) certification influence their attitudes toward companies and their intention to use,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s of ESG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management expectations and corporate attitude. As ESG management becomes a core element of corporate competitiveness, consumers are increasingly concerned not only with price and quality but also with corporate sustainability and social responsibility. In Korea, CCM certification has emerged as a key indicator of consumer trust. However, even when companies adopt ESG practices or obtain CCM certification, continuous and sincere efforts are required for these actions to translate into consumer trust and behavioral intention.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his study empirically demonstrates that consumer perceptions of CCM certification positively affect ESG management expectations, corporate attitude, and intention to use. Furthermore, both ESG management expectations and corporate attitude significantly influence behavioral intention. Among them, corporate attitude shows the strongest effect on consumers’ intention to use, confirming that consumer attitude plays a crucial role in shaping behavior, in line with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By clarifying the cognitive-affective-behavioral pathway in consumer decision-making, this paper provides practical insights into developing strategic marketing approaches that align CCM certification with ESG practices.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enhancing consumer trust and fostering long-term behavioral intention. Future research should explore longitudinal data and a broader range of consumer groups to generalize the resul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연구가설
	                       
	                          Ⅳ. 연구방법
	                       
	                          Ⅴ. 분석결과
	                       
	                          Ⅵ. 결론 및 토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적자원관리연구 제32권 제3호 목차
- HRM beats big bucks? The Influence of perceived HRM system strength and pay level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turnover intention
- 임파워링 리더십이 변화주도행동에 미치는 비선형효과 - 창의적 자기효능감을 통한 향상초점의 매개된 조절효과
- 집단주의 성향이 개인-조직 적합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조직지원인식의 조절된 매개효과
- 대기업 종사자의 코칭리더십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전감의 매개효과
- 과학기술 분야 연구실 안전 교육 학습자의 VR(가상현실) 기술사용의도 분석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국내 과학기술인력개발 연구동향 분석
- 소비자의 CCM인증(소비자중심경영)기업에 대한 인식이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ESG 경영 기대와 태도의 매개효과
- 상사의 안전리더십과 구성원의 안전태도 및 안전행동 간 관계연구
- LMX가 상대적 박탈감 및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LMXSC의 조절된 매개효과
- 인공지능 인적자원관리가 HR 부서 직원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시스템 효율성의 매개효과 및 직원 민첩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도전적 목표가 성과왜곡행동에 미치는 영향 - 이차원(개인지향, 조직지향) 성취동기의 매개효과
- 지각된 조직문화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코칭 및 멘토링 효과에 대한 인식 일치성의 조절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