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차원적 정서모형의 슬픔 강도가 부정적 욕구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e-Commerce 검색량과 구매량, 폭식, 음주, 강박현상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Multidimensional Emotion Model’s Sadness Intensity on Negative Desire Behavior: Focusing on e-Commerce Search Volume and Purchase Volume, Binge Eating, Alcohol, and Obsessive Compulsive Behavior
발행기관
한국상품학회
저자명
전진호(Jin Ho Jeon) 이종명(Jong Myung Lee)
간행물 정보
『상품학연구』제43권 제4호, 121~129쪽, 전체 9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소비자는 삶을 살며 수많은 욕구를 충족하려고 하며, 욕구가 충족이 되면, 행복해 하고, 욕구가 충족이 되지 않으면 불행을 느끼게 된다. 소비자는 욕구가 충족이 되는 경우보다 욕구가 충족되지 않는 결핍의 현상을 느끼는 경우가 많고 이러한 현상으로 스트레스에 과다하게 노출이 되고 이러한 스트레스는 부정적 감정(분노, 혐오, 슬픔, 놀람, 공포)의 발생에 동기가 되고 이러한 부정적 감정이 오래 지속되면 강박적 행동인 부정적 욕구행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부정적 정서를 Plutchik (1980)의 다차원적 정서모형에서 제시한 기본 감정인 8가지 중 5가지의 슬픔의 강도(비탄, 서러움, 슬픔, 우울함, 수심)가 부정적 욕구행동 5가지(e-Commerce 검색량, e-Commerce 구매량, 폭식, 음주, 강박현상)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소비자는 비탄이라는 너무 강한 슬픔을 느끼는 강박상태에서는 부정적 욕구행동 5가지에 유의미한 결과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서러움이란 혼자서 느낄 수 없고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생기는 감정으로 강박상태에서 나타나는 부정적 욕구행동 5가지에서 모두 가장 영향력이 큰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우울함을 가진 소비자의 경우 e-Commerce 구매량을 높일 수 있는 소비자라는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마케팅전략 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Consumers try to satisfy numerous desires in their lives, and when their desires are satisfied, they feel happy, and when their desires are not satisfied, they feel unhappy. Consumers often feel a lack of desires rather than when their desires are satisfied, and this phenomenon leads to excessive exposure to stress, and this stress motivates the occurrence of negative emotions (anger, disgust, sadness, surprise, fear), and when these negative emotions continue for a long time, compulsive behaviors such as negative desire behaviors occur. This study aimed to study the effects of the intensity of sadness (grief, sorrow, sadness, depression, and anxiety) of five of the eight basic emotions suggested by Plutchik (1980)‘s multidimensional emotion model on five negative desire behaviors (e-Commerce search volume, e-Commerce purchase volume, binge eating, drinking, and compulsive phenomena).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in a compulsive state where consumers feel an extremely strong sadness called grief, there were no significant results in the five negative desire behaviors, and in a compulsive state where consumers feel sadness, an emotion that cannot be felt alone but arises in relationships with others, there were significant results in which all five negative desire behaviors had the greatest influence. In the case of consumers with depression, it is judged that this can contribute to establishing a marketing strategy by producing significant results that consumers can increase their e-commerce purchas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진호(Jin Ho Jeon),이종명(Jong Myung Lee). (2025).다차원적 정서모형의 슬픔 강도가 부정적 욕구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e-Commerce 검색량과 구매량, 폭식, 음주, 강박현상을 중심으로. 상품학연구, 43 (4), 121-129

MLA

전진호(Jin Ho Jeon),이종명(Jong Myung Lee). "다차원적 정서모형의 슬픔 강도가 부정적 욕구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e-Commerce 검색량과 구매량, 폭식, 음주, 강박현상을 중심으로." 상품학연구, 43.4(2025): 121-1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