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rategic Impact of ESG Orientation and Supply Chain Collaboration on Supply Chain Performance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이성희(Sunghee Lee) 박진수(Jinsoo Park)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43권 제4호, 93~99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ESG가 기업 경영의 핵심 요소로 부상하는 상황에서 공급사슬 협력 수준과 구매사의 ESG 추진 방향(리스크 관리 차원 vs 기회 창출 차원)의 상호작용이 공급사슬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급사슬 협력 수준이 높을수록 원·부재료 회전율로 측정한 공급사슬 성과가 향상되었다. ESG 경영을 새로운 가치 창출의 기회로 인식하고 추진하는 기업들이 리스크 관리 목적으로 추진한 기업보다 더 나은 성과를 보였다. 특히, 공급사슬 협력과 ESG 추진 방향 간 상호작용 효과를 발견했는데, 높은 수준의 협력 관계에서는 기회 창출 지향의 ESG 접근법이 더욱 효과적이었다. 반면, 협력 수준이 낮은 환경에서는 ESG 추진 방향과 관계없이 유사한 성과를 보였다. 또한,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ESG를 도입하는 기업들은 공급사슬 협력 수준 향상에 따른 성과 개선 효과가 제한적이었다. 본 연구는 ESG 추진 방향을 리스크 관리와 기회 창출 차원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차별적 효과를 실증함으로써 ESG 연구의 이론적 확장에 이바지하였다. 실무적으로는 기업들이 ESG를 단순한 규제 대응이나 평판 관리 차원에서 접근하기보다는 혁신과 가치 창출의 원천으로 인식하고, 공급사슬 협력 수준에 따른 차별화된 ESG 전략을 수립해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impact of the interaction between supply chain collaboration levels and buyers' ESG implementation approaches (risk management vs. opportunity creation) on supply chain performance, in the context where ESG has emerged as a core element of corporate management.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higher levels of supply chain collaboration improved supply chain performance as measured by raw material and component turnover rates. Companies that recognized and pursued ESG management as an opportunity for new value creation demonstrated better performance than those that pursued it for risk management purposes. In particular, an interaction effect was discovered between supply chain collaboration and ESG implementation approaches, where opportunity creation-oriented ESG approaches were more effective in high-level collaborative relationships. Conversely, in environments with low collaboration levels, similar performance was observed regardless of ESG implementation approach. Additionally, companies that adopted ESG from a risk management perspective showed limited performance improvement effects from enhanced supply chain collaboration levels.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theoretical expansion of ESG research by distinguishing ESG implementation approaches into risk management and opportunity creation dimensions and empirically demonstrating their differential effects.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the findings suggest that companies should recognize ESG as a source of innovation and value creation rather than merely approaching it as regulatory compliance or reputation management, and should establish differentiated ESG strategies according to supply chain collaboration level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 가설 설정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관광지 VR 영상과 일반 동영상의 효과 비교: 관광지 VR 체험요소와 지각된 가치, 몰입과 행동의도를 중심으로
- 항공여행객이 지각하는 승객안전브리핑과 신체적 지각된 위험과의 관계 연구
- 선험 만족, 구전, 거래 투명성과 사회적 존재감이 소셜커머스 소비자의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업사이클드 식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구매 행동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 MZ세대 소비자를 중심으로
- ESG 지향점과 공급사슬 협력이 공급사슬 성과에 미치는 전략적 영향 연구
- 액티브 시니어를 위한 문화예술 앱 UX 기능 도출 및 설계 전략 연구
- 다차원적 정서모형의 슬픔 강도가 부정적 욕구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e-Commerce 검색량과 구매량, 폭식, 음주, 강박현상을 중심으로
- Silver Influencers’ Touch: The Power of Perceived Closeness in Driving Collaboration Products Preference
- ESG 경영이 브랜드 확장평가에 미치는 영향: 따뜻함과 호혜지각의 이중매개효과
- 숏폼 쇼핑 큐레이션 콘텐츠 특성에 따른 소비자 반응의 차이에 관한 연구
- 식품사의 ESG 경영이 MZ소비자의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K-ESG 가이드라인 기반 측정 및 목적지향성/지속가능소비성향의 조절효과
- Relationship Matters: How Vietnamese Consumers’ Relational Experience Influences Trust and Brand Advocacy
- When Are Two-Sided Reviews More Persuasive?: The Moderating Role of Regulatory Focus in Online Review Evaluation
- 메타버스 시대 럭셔리 브랜드 광고의 진정성과 설득력: 브랜드 헤리티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관광지 VR 영상과 일반 동영상의 효과 비교: 관광지 VR 체험요소와 지각된 가치, 몰입과 행동의도를 중심으로
- 항공여행객이 지각하는 승객안전브리핑과 신체적 지각된 위험과의 관계 연구
- 선험 만족, 구전, 거래 투명성과 사회적 존재감이 소셜커머스 소비자의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