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국내 과학기술인력개발 연구동향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Research Trends on Human Resources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Workforce through Text Mining
발행기관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저자명
유소연(Soyeon Yu) 김보영(Bo Young Kim) 송영수(Youngsoo Song)
간행물 정보
『인적자원관리연구』제32권 제3호, 107~123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국내 과학기술인력개발 연구의 시기별 연구동향, 주요 키워드, 연구주제와 학문영역을 파악하며 향후 실무적 및 정책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 학술논문 및 학위논문 총 182편의 초록을 대상으로 구글 코랩을 이용하여 키워드 빈도분석, 토픽모델링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1994년부터 과학기술 인재개발 분야 연구가 시작되어 2010년대 중반 이후 급격히 증가하다 2020년대 초반에 감소하는 추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과학기술인력개발 연구의 주요 키워드는 ‘교육’, ‘혁신’, ‘직무’, ‘경력’, ‘몰입’ 등이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셋째, 토픽모델링 결과, 연구주제는 ① 대학에서의 학업 경험, ② 기업의 조직 특성과 개인 경력·역량 개발, ③ 대학의 글쓰기·교양 기반 기초 역량교육, ④ 과학기술인력의 직무 몰입과 경력 이동, ⑤ 리더십·신뢰 기반의 조직혁신 역량으로 다섯 가지로 구분되었다. 이 연구결과는 과학기술인력개발은 개인, 조직, 사회적 차원에서 상호적으로 연결되어 발전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과학기술인력 대상 HRD 전 분야(ID, CD, OD)를 대상으로 한 종합적인 연구동향 분석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정책·실무적으로 대학의 기초역량 교육 강화, 재직자의 직무전환 및 경력개발 프로그램 확대, 조직의 직무몰입 및 조직문화 개선, 리더십 기반의 혁신역량 강화가 필요함을 시사하며, 학문적으로는 텍스트마이닝 기법이 과학기술인력개발 분야 전반의 연구동향을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tilize text mining to identify the research trends, key keywords, research topics, and academic fields of domestic science and technology human resources development research by period, and to provide practical and policy-based reference materials for the future. To this end, keyword frequency analysis and topic modeling were conducted using Google Colab on a total of 182 abstracts from domestic academic papers and theses. The results revealed that, first, research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human resource development began in 1994, increased sharply after the mid-2010s, and then declined in the early 2020s. Second, the main keywords in science and technology human resource development research were “education”, “innovation”, “job”, “career”, and “engagement” which appeared with high frequency. Third, the topic modeling results categorized research topics into five categories: ① academic experiences at universities, ②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companies and individual career and competency development, ③ foundational competency education in writing and liberal arts at universities, ④ job engagement and career mobil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human resources, ⑤ organizational innovation competencies based on leadership and trust.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science and technology human resource development is interconnected and develops across individual, organizational, and societal dimen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across all HRD fields (ID, CD, OD) targeting science and technology personnel. From a policy and practical perspective, it suggests the need to strengthen foundational competency education in universities, expand job transition and career development programs for employed personnel, improve job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ulture, and enhance innovation capabilities based on leadership. Academically, it confirms that text mining are an effective method for comprehensively understanding research trends across the entir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human resource developmen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소연(Soyeon Yu),김보영(Bo Young Kim),송영수(Youngsoo Song). (2025).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국내 과학기술인력개발 연구동향 분석. 인적자원관리연구, 32 (3), 107-123

MLA

유소연(Soyeon Yu),김보영(Bo Young Kim),송영수(Youngsoo Song).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국내 과학기술인력개발 연구동향 분석." 인적자원관리연구, 32.3(2025): 107-1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