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메타버스 시대 럭셔리 브랜드 광고의 진정성과 설득력: 브랜드 헤리티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용수  9

영문명
Authenticity and Persuasion in Luxury Brand Advertising on the Metaverse: The Moderated Mediation Role of Brand Heritage
발행기관
한국상품학회
저자명
오재영(Jae-Young Oh) 황정빈(Jeongbin Whang)
간행물 정보
『상품학연구』제43권 제4호, 73~81쪽, 전체 9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메타버스와 물리적 플랫폼에서의 럭셔리 브랜드 광고가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차별적 효과를 조사하고, 브랜드 헤리티지가 메시지 진정성 유지에 미치는 조절 역할을 규명하였다. 사회적 실재감 이론을 바탕으로, 메타버스 광고가 메시지 진정성 감소를 통해 구매의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강한 브랜드 헤리티지가 이러한 부정적 효과를 부분적으로 완화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2(광고 플랫폼: 메타버스 vs. 물리적) × 2(브랜드 헤리티지: 높음 vs. 낮음) 집단 간 실험설계를 통해 두 차례의 실험 연구(N=181, N=300)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메타버스 광고는 물리적 광고 대비 낮은 구매의도를 유발하며, 이는 메시지 진정성 감소에 의해 매개됨을 확인하였다. 브랜드 헤리티지가 강한 경우 메타버스 광고의 부정적 효과가 유의하게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전히 물리적 광고 대비 부정적 효과가 지속되어 헤리티지가 완전한 해결책이 아님을 확인하였다. 특히 브랜드 헤리티지는 광고 플랫폼 유형과 메시지 진정성 간의 관계를 조절하며, 메시지 진정성을 통한 매개 경로 전체를 강화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 럭셔리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이론 발전에 기여하며, 실무적으로는 메타버스 환경에서도 신중한 접근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특히 강한 헤리티지를 보유한 브랜드조차도 메타버스에서는 상당한 진정성 손실을 감수해야 하므로, 헤리티지 자산을 보완적 전략으로 활용하되 통합적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tial effects of luxury brand advertising in metaverse versus physical platforms on consumer responses and examines the moderating role of brand heritage in maintaining message authenticity. Based on social presence theory and brand heritage theory, we propose that metaverse advertising negatively affects purchase intention through reduced message authenticity, but strong brand heritage can mitigate these negative effects. Two experimental studies (N=181, N=300) were conducted using a 2 (advertising platform: metaverse vs. physical) × 2 (brand heritage: high vs. low) between-subjects design. Results confirmed that metaverse advertising leads to lower purchase intentions compared to physical advertising, and this effect is mediated by reduced message authenticity. Additionally, strong brand heritage significantly mitigated the negative effects of metaverse advertising. Brand heritag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vertising platform type and message authenticity, demonstrating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that strengthened the entire mediation pathway through message authenticity.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luxury brand communication theory in the digital era and practicall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heritage-based narrative strategies in metaverse environments. By presenting strategic utilization methods for heritage assets to maintain brand authenticity on metaverse platforms, this study provides important implications for luxury brand management during the digital transform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설정
Ⅲ. 연구방법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재영(Jae-Young Oh),황정빈(Jeongbin Whang). (2025).메타버스 시대 럭셔리 브랜드 광고의 진정성과 설득력: 브랜드 헤리티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상품학연구, 43 (4), 73-81

MLA

오재영(Jae-Young Oh),황정빈(Jeongbin Whang). "메타버스 시대 럭셔리 브랜드 광고의 진정성과 설득력: 브랜드 헤리티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상품학연구, 43.4(2025): 73-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