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식품사의 ESG 경영이 MZ소비자의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K-ESG 가이드라인 기반 측정 및 목적지향성/지속가능소비성향의 조절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Effects of Food Firm's ESG Management on the Brand Attitudes of the MZ Consumers: K-ESG Guidelines-Based Measurement, Moderation of Purpose Orientation/Sustainable Consumption Propensity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최성보(Seongbo Choi)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43권 제4호, 101~10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식품사의 ESG 경영에 대한 MZ세대 소비자(이하 “MZ소비자”라 칭함)의 인식이 브랜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영향 관계를 식품사의 목적지향성과 MZ소비자의 지속가능소비성향이 조절하는지를 K-ESG 가이드라인(산업통상자원부 2021)을 기반으로 실증분석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국내 대형 5개 식품사를 표본기업군으로, MZ소비자 719명을 대상으로, 2024년 9월에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식품사의 ESG 경영에 대한 MZ소비자의 인식은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애호도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식품사의 목적지향성은 ESG 경영에 대한 MZ소비자의 인식과 브랜드 이미지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지속가능소비성향은 UN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No.12와 관련된 개념으로 조절변수가 아니라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애호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 성격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식품사들이 MZ소비자들로부터 애호를 받기 위해서는 중요한 ESG 주제를 선정하는 프로세스에 MZ소비자들을 적극 참여시키고 각각의 기업 목적에 회사가 존재하는 이유를 명확하게 표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Based on the K-ESG Guidelines(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2021),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whether MZ generation consumers’(hereinafter called “MZ consumers”) perceptions of domestic food companies' ESG management positively impact on their brand attitudes, and whether this relationship is moderated by the food companies' purpose orientation and MZ consumers' sustainable consumption propensity.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719 MZ consumers, in September 2024, using five major domestic food companies as sample firms. The analysis results confirm that MZ consumers’ perceptions of ESG management in food companies influence brand image and brand loyalty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and that food companies' purpose orientation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MZ consumers’ perceptions of ESG management and brand image. However, sustainable consumption propensity, as a concept related to the United Nation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No.12, is revealed to function not as a moderating variable but rather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at directly influences brand image and brand loyal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for domestic food companies gain favor from MZ consumers, it is critically important to actively engage MZ consumers in the process of selecting material ESG topics and to clearly articulate the reason for the company’s existence within each company’s corporate purpos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Ⅴ. 연구결과의 요약, 논의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관광지 VR 영상과 일반 동영상의 효과 비교: 관광지 VR 체험요소와 지각된 가치, 몰입과 행동의도를 중심으로
- 항공여행객이 지각하는 승객안전브리핑과 신체적 지각된 위험과의 관계 연구
- 선험 만족, 구전, 거래 투명성과 사회적 존재감이 소셜커머스 소비자의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업사이클드 식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구매 행동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 MZ세대 소비자를 중심으로
- ESG 지향점과 공급사슬 협력이 공급사슬 성과에 미치는 전략적 영향 연구
- 액티브 시니어를 위한 문화예술 앱 UX 기능 도출 및 설계 전략 연구
- 다차원적 정서모형의 슬픔 강도가 부정적 욕구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e-Commerce 검색량과 구매량, 폭식, 음주, 강박현상을 중심으로
- Silver Influencers’ Touch: The Power of Perceived Closeness in Driving Collaboration Products Preference
- ESG 경영이 브랜드 확장평가에 미치는 영향: 따뜻함과 호혜지각의 이중매개효과
- 숏폼 쇼핑 큐레이션 콘텐츠 특성에 따른 소비자 반응의 차이에 관한 연구
- 식품사의 ESG 경영이 MZ소비자의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K-ESG 가이드라인 기반 측정 및 목적지향성/지속가능소비성향의 조절효과
- Relationship Matters: How Vietnamese Consumers’ Relational Experience Influences Trust and Brand Advocacy
- When Are Two-Sided Reviews More Persuasive?: The Moderating Role of Regulatory Focus in Online Review Evaluation
- 메타버스 시대 럭셔리 브랜드 광고의 진정성과 설득력: 브랜드 헤리티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