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선험 만족, 구전, 거래 투명성과 사회적 존재감이 소셜커머스 소비자의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영문명
Effects on a Priori Satisfaction, Word of Mouth, Deal Transparency and Social Presence on the Purchase Behavior of Social Commerce Consumer
발행기관
한국상품학회
저자명
이은곤(Un-Kon Lee)
간행물 정보
『상품학연구』제43권 제4호, 53~60쪽, 전체 8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는 전자상거래로서 소셜커머스는 그 동안 큰 인기를 누리다가 최근 업체들이 도산하는 등 큰 변화를 겪고 있다. 이 원인 중 하나는 소셜커머스가 소비자간 사회적 상호작용을 소홀히 하여 오픈마켓과 차별화에 실패한 점이다. 소셜커머스는 태생적으로 사회적 상호작용에 기반하며, 이는 소셜커머스 중개자의 성공에 필수적이다. 그러나 소셜커머스 거래 내외의 다양한 사회적 상호작용이 구매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한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이 연구에서는 소셜커머스 거래 외 선험적 사회적 상호작용으로 과거 거래에 대한 소비자 본인의 만족과 긍정적 구전의 두 변수와 거래 내 사회적 상호작용으로 거래의 투명성과 사회적 존재감의 네 가지 요인들이 어떻게 소비자의 기대-일치를 이끌어내고 구매 의도로 연결되는지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선험적 만족도는 기대에, 사회적 존재감은 일치에 영향을 미치며, 거래 투명성은 기대와 일치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막연한 구전은 기대와 일치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그리고 증가된 기대-일치는 인지된 유용성, 만족도, 구매 의도를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왜 소셜커머스가 다른 전자상거래와 차별화가 어려운 지를 검증함과 동시에 사회적 상호작용이 소셜커머스 이용자들의 구매 의도를 이끌어내는 중요한 요인으로 활용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소셜커머스 업체들이 사회적 상호작용을 적극 활용함으로써 현재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고객 유치에 도움을 받기를 바란다.

영문 초록

As an e-commerce platform that utilizes social media, social commerce has enjoyed great popularity, but it has recently undergone major changes, with some companies going out of business. One of the reasons for this is that social commerce has failed to differentiate itself from open markets by neglecting social interaction among consumers. Social commerce is innately based on social interaction, which is essential for the success of social commerce intermediaries. However, there is still a few empirical studies on how various social interactions inside and outside of social commerce deals affect purchasing behavior. This study examined how four factors—two a priori social interactions outside of deals (a consumer's satisfaction with past transactions and positive word-of-mouth) and two social interactions within deals (deal transparency and social presence)—lead to social commerce consumer expectation-confirmation and are linked to purchase intention.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a priori satisfaction affects expectations, social presence affects confirmation, and deal transparency affects both expectations and confirmation. Vague a priori word-of-mouth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ither expectations or confirmation. Increased expectation-confirmation significantly increase perceived usefulness,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validates why it is difficult for social commerce to differentiate itself from other e-commerce platforms, while also arguing that social interactions are still an important factors that drive the purchase intention of social commerce users, and therefore these elements should be actively utilized.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social commerce overcome its current difficulties and attract consumers for social commerce platforms by actively utilizing social interac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토 론
Ⅵ.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곤(Un-Kon Lee). (2025).선험 만족, 구전, 거래 투명성과 사회적 존재감이 소셜커머스 소비자의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상품학연구, 43 (4), 53-60

MLA

이은곤(Un-Kon Lee). "선험 만족, 구전, 거래 투명성과 사회적 존재감이 소셜커머스 소비자의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상품학연구, 43.4(2025): 53-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