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숏폼 쇼핑 큐레이션 콘텐츠 특성에 따른 소비자 반응의 차이에 관한 연구

이용수  3

영문명
Differences of Consumer Response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Shopping Curation Contents in Short-form Video
발행기관
한국상품학회
저자명
김지원(Ji Won Kim) 박철(Cheol Park)
간행물 정보
『상품학연구』제43권 제4호, 1~11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0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숏폼 콘텐츠는 디지털 마케팅과 제품 홍보에서 주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특히 큐레이션된 콘텐츠는 소비자의 정보 탐색과 구매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기존 연구는 주로 콘텐츠의 형식적·내용적 측면에 국한되어 있으며, 숏폼 쇼핑 큐레이션 콘텐츠 특성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본 연구는 YouTube Shorts, Instagram Reels, TikTok Lite 등 주요 숏폼 플랫폼에서 수집한 200개 숏폼 쇼핑 큐레이션 콘텐츠를 대상으로, 콘텐츠 속성(점포 유형, 제품 품목, 정보 유형 등)과 소비자 반응(조회수, 추천수, 공유수, 댓글수, 부정댓글 수)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오프라인 병행 제품과 제품 추천 콘텐츠에 대한 소비자 반응이 높았으며, 부정 댓글 수에서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다. 개인 베스트 콘텐츠는 가장 높은 부정 댓글 수를, 솔직 경험 후기는 가장 낮은 부정 댓글 수를 기록하였다. 또한, 유튜브 쇼츠는 댓글 수가 타 플랫폼에 비해 더 높아 플랫폼 에 따른 소비자 반응에는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숏폼 쇼핑 큐레이션 콘텐츠의 특성과 플랫폼 유형이 소비자 참여에 차이를 유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정서적 연결이나 기대 관리와 같은 심리적 매커니즘은 본 연구에서 직접 측정되지 않았으므로, 이는 향후 연구에서 검증이 필요한 가능성으로 제시한다. 이를 통해 숏폼 쇼핑 큐레이션 콘텐츠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마케팅 전략과 플랫폼별 차별화 전략 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Recently, short-form content ha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digital marketing and product promotion, with curated content in particular influencing consumers' information search and purchase decision-making processes. While previous studies have primarily focused on the formal and thematic aspects of content, there is a lack of systematic analysis on how the characteristics of short-form shopping curation content affect consumer responses.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ent attributes (such as store type, product category, and information type) and consumer responses (including views, likes, shares, comments, and negative comments) based on 200 curated short-form shopping videos collected from major platforms including YouTube Shorts, Instagram Reels, and TikTok Lite. The results show that products available both online and offline, as well as recommendation-type content, received higher levels of consumer engagement. Notab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number of negative comments: “personal best” content received the highest number of negative comments, while “honest reviews” recorded the lowest. In addition, YouTube Shorts generated more comments than other platforms, indicating platform-specific variations in consumer response. Overall, short-form shopping content serves not only as a tool for information delivery but also as a medium that enhances emotional engagement and requires expectation management. This study offers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and platform-specific approaches to maximize the impact of curated short-form shopping conten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가설
Ⅳ. 연구방법
Ⅴ. 결 과
Ⅵ.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지원(Ji Won Kim),박철(Cheol Park). (2025).숏폼 쇼핑 큐레이션 콘텐츠 특성에 따른 소비자 반응의 차이에 관한 연구. 상품학연구, 43 (4), 1-11

MLA

김지원(Ji Won Kim),박철(Cheol Park). "숏폼 쇼핑 큐레이션 콘텐츠 특성에 따른 소비자 반응의 차이에 관한 연구." 상품학연구, 43.4(2025): 1-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