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Difficulties of Police Officers who Deal with Stalking Crimes: Centered on Interview Survey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홍태경(Tae-Kyung H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9권 제4호, 307~33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21년 10월 21일 스토킹처벌법이 제정된 후 1년이 지났다. 스토킹처벌법은 22년 만에 국회를 통과했지만 스토킹 피해자들에 대한 강력범죄는 끊이지 않고 있다. 기존 다수의 연구들은 스토킹처벌법에 중점을 두고 법적인 문제를 고찰하였으나, 실제 사건 대응현장에서는 다양한 어려움과 한계가 존재한다. 이 연구는 스토킹 사건에 대응하는 현장경찰관의 어려움을 파악하고자 경찰관들을 대상으로 면접연구를진행하였다. 면담대상자에는 현장출동경찰관과 수사경찰, 스토킹전담경찰관이 포함되었다. 면담결과를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법적인 ‘스토킹의 정의’에 대해 모호한 부분을 지적하는 의견들이 있었다. 둘째, ‘ 반의사불벌죄’ 조항에 대해서는 부작용이 더 많으므로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셋째, 응급조치 과정에서는 가해자와 피해자의 ‘분리’가 힘들다는 응답이 있었고, 긴급응급조치 위반자에 대한 경찰 대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넷째, 피해자 보호와 관련하여서는 반의사불벌죄의 폐지와 피해자보호명령도입 등의 의견이 제시되었고 피해자 보호예산 추가확보와 전문인력의 확보도 필요하다는 의견이었다. 다섯째, 가해자와 관련하여서는 현행범 체포나 법정형 강화와 같은 단호한 대응이 재범 억제에 효과적일 것이라는 의견들이 많았다.
영문 초록
A year has passed since the Act on the Punishment of Stalking Crimes was enacted on October 21, 2021. The Act on the Punishment of Stalking Crimes passed the National Assembly for the first time in 22 years, but violent crimes against stalking victims have continued. Many existing studies have investigated legal problems with an emphasis on the Act on the Punishment of Stalking Crimes, but there are various difficulties and limitations in the site for responses to actual incidents. This study was to conduct interview research on police officers to grasp the difficulties of field police officers in response to stalking incidents. The interviewee included on-site police officers, investigative police officers, and stalking support police officers. From the result of the interview, it may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re were opinions pointing out the ambiguous part about the legal 'definition of stalking'. Second, there were a lot opinions that the clause 'Penalty Subject to Consent' should be abolished because there are more adverse events. Third, in the process of emergency measures, there were responses that it was difficult to 'separate' the assailant and victim, and there were many opinions that the police ability to respond to the violators of urgent emergency measures should be enhanced. Fourth, regarding the protection of victims, opinions such as the abolition of Penalty Subject to Consent and the introduction of a victim protection order were suggested, and it was also necessary to secure additional support budget of criminal victim and professional manpower. Fifth, regarding the assailant, there were a lot of opinions that a firm response such as arrest of flagrant offender or strengthening the statutory penalty would be effective in recidivism suppression.
목차
Ⅰ. 서론
Ⅱ. 스토킹범죄의 발생 및 대응 현황
Ⅲ. 면담연구의 설계
Ⅳ. 스토킹범죄 대응상의 어려움과 개선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찰공무원의 세대별 직무만족도 차이에 대한 연구: 세대 구분의 담론 형성을 중심으로
- ‘2021 자치경찰제도’에 관한 연구
- 해상에서 경찰관직무집행법 적용의 한계에 관한 고찰: 경직법 제3조 불심검문을 중심으로
- 스토킹 피해자 보호·지원 강화 방안
- 경찰의 자살대응 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경찰공무원의 직무소진이 사전적 경찰활동 감소에 미치는 영향
- CPTED 관련 조례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천안시 CPTED 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 스토킹범죄를 처리하는 경찰관들의 어려움: 면담조사를 중심으로
- 中韩犯罪嫌疑人辩护权利保护比较研究
- 언론 보도 및 소셜미디어 분석을 이용한 1인 가구 범죄의 사회적 인식연구
-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 부정정서가 사이버 비행에 미치는 영향
- 외국인의 폭력태도에 대한 차별경험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 육군병사의 성(性)적침해 인식이 인권교육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시큐리티 분야에서 드론 교육의 방향성 모색: 공통 기본교육을 중심으로
- 현행범 체포의 법적 요건에 관한 고찰: 가정폭력·스토킹 등의 피해자 보호를 목적으로
- 폭력적 극단주의 예방과 대응을 위한 한국 사례 모색: 아프간 특별기여자 국내 정착 과정을 중심으로
- 경찰공무원의 변혁적 리더십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LMX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자치경찰제도 운영에 있어 주민참여에 관한 논의: 광주광역시 주민 인식분석을 중심으로
- 보이스피싱의 실태 및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21 No.3 목차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전공심화 운영 방안: 글로벌 역량 강화와 지원
- 한국 폐경 여성의 이상지질혈증 예측을 위한 머신러닝 모델 비교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9기 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