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Influence of Army Soldier’s Consciousness of Sexual Infringement on Satisfaction of Human Right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이재민(Jae-Mi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9권 제4호, 203~21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육군 병사의 성적 침해 인식이 인권교육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성적침해 문제에 대하여 육군 사병의 인권교육의 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의 연구이다. 이 연구의 완성을 위하여 현재 복무 중인 육군 병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얻어진 자료를 통계적 기법으로 분석하여 실태를 파악하고 인권교육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인권은 인간의 인간적으로 살기 위한 기본적인 권리지만 군은 이러한 인권에 대하여 많은 제한을 두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지난 70년간 남북분단과 일본·중국과 함께 있는 지정학적 위치로 인하여 안보가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는 상황에 부족한 안보상황을 보완하기 위하여 징병제로 우리나라를 보호 하고 있다.
그 결과, 많은 군 장병들의 인권이 침해받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2010년대 이후부터 인권교육을 받았으나, 효과는 크지 않았다. 2019년 군인권 실태 조사를 통하여 얻어진 설문자료를 이용하여 통계적 기법으로 분석한 결과, 인권의식 중 성적침해 인식이 인권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두 결과 모두 의미있다는 결과가 도출되지는 않았으나, 현재의 군 내 인권교육의 효과성을 보여주지 못해 육군 내 인권교육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기존 인권교육을 개선하여 인권교육이 소그룹 형태나 체험형 교육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인권감수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인권교육을 내부 지휘관만이 아닌 외부 민간강사들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d how the army soldier’s consciousness of sexual infringement influence on the effectiveness of human right education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human right education for the army soldiers on the sexual infringement issue. This paper conducted a survey on army soldiers in service and analyzed the survey data based on a statistical technique to identify the actual state and suggest the measures to improve the human right education.
Although human right is the fundamental right for all human beings, the soldiers have limited human rights in numbers of aspects. Especially, South Korean security is seriously threatened by 70 years of North and South division and geopolitical position adjacent to Japan and China.
In such situation, South Korea performs a compulsory military service system to protect South Korea from the unstable security situation.
To solve the threats to the human rights of army soldiers, Republic of Korea Army (ROKA) gave human right educations since 2010s but they weren’t effective enough.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on the data from 2019 survey of soldier’s human right and how the human right education satisfaction is affected by the consciousness on sexual infringement among the consciousness in human rights were as follows. Neither result was meaningful, but it proved that human rights education in the army needs to be improved because it did not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current human rights education in the militar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xisting human right education and provide the small group-type or experience-type human right education 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s and enhance human rights sensitivity. In response, this paper suggested on utilizing both military officers and external civilian instructors for the human right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가설 및 연구모형
Ⅳ. 연구방법
Ⅴ. 분석결과 및 개선방안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찰공무원의 세대별 직무만족도 차이에 대한 연구: 세대 구분의 담론 형성을 중심으로
- ‘2021 자치경찰제도’에 관한 연구
- 해상에서 경찰관직무집행법 적용의 한계에 관한 고찰: 경직법 제3조 불심검문을 중심으로
- 스토킹 피해자 보호·지원 강화 방안
- 경찰의 자살대응 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경찰공무원의 직무소진이 사전적 경찰활동 감소에 미치는 영향
- CPTED 관련 조례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천안시 CPTED 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 스토킹범죄를 처리하는 경찰관들의 어려움: 면담조사를 중심으로
- 中韩犯罪嫌疑人辩护权利保护比较研究
- 언론 보도 및 소셜미디어 분석을 이용한 1인 가구 범죄의 사회적 인식연구
-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 부정정서가 사이버 비행에 미치는 영향
- 외국인의 폭력태도에 대한 차별경험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 육군병사의 성(性)적침해 인식이 인권교육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시큐리티 분야에서 드론 교육의 방향성 모색: 공통 기본교육을 중심으로
- 현행범 체포의 법적 요건에 관한 고찰: 가정폭력·스토킹 등의 피해자 보호를 목적으로
- 폭력적 극단주의 예방과 대응을 위한 한국 사례 모색: 아프간 특별기여자 국내 정착 과정을 중심으로
- 경찰공무원의 변혁적 리더십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LMX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자치경찰제도 운영에 있어 주민참여에 관한 논의: 광주광역시 주민 인식분석을 중심으로
- 보이스피싱의 실태 및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21 No.3 목차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전공심화 운영 방안: 글로벌 역량 강화와 지원
- 한국 폐경 여성의 이상지질혈증 예측을 위한 머신러닝 모델 비교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9기 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