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by Generation of Police Officials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정보성(Bo-Sung Jung) 민흥기(Heung-Ki Min)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9권 제4호, 237~25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경찰조직의 목표달성에 있어 효율적인 인사관리와 조직관리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공공조직인 경찰조직은 연령정년 제도로 인하여 민간조직에 비해 세대의 다양성이 더 높다. 따라서 경찰공무원의 세대별 직무만족도에 대한 차이를 달리 살펴봐야 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에 대한연구는 조직관리 및 인사관리에 있어 수 십년 간 진행되어 온 다소 진부한 주제일 수 있겠으나, 직무만족도가 조직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큰 변수이므로 끊임없이 연구되어야 할 주제임은 분명하다. 이 연구는 통계적 분석방법론에 치중하여 경찰 조직의 세대 차이라는 조직적·사회적 현상을 실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지 않다. 이 연구의 목적은 경찰 조직을 구성하는 경찰공무원의 세대 구분에 대한 담론을 형성하고, 세대 별 직무만족도 제고를 위한 조직관리 및 인사관리의 다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논거를 제시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양적 연구를 병행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경찰조직의 세대 관련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단순 연령과 출생 코호트만을 기준으로 세대를 구분하는 데에는 다소 무리가 존재하며, 이러한 세대 구분으로는 인과관계 또는 영향요인을 실증하는 연구를 진행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경찰조직의 세대를 구분할 때 근무연수와 입직경로 기준으로 경찰 조직의 세대 연구를 진행한다면 다양한 차원의 세대 관련 연구의 진행이 가능할 수 있다는 점 역시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Effective personnel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are essential factors in achieving the goals of the police organization. Police organizations, which are public organizations, have higher generational diversity than private organizations due to the age retirement system. Therefore, it would be natural to look at the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by generation of police officials. Research on job satisfaction of organizational members may be a rather cliche topic that has been going on for decades in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personnel management, but it is clear that job satisfaction is a topic that needs to be constantly studied because it has a very large impact on the organization. This study focuses on statistical analysis methodology and does not aim to demonstrate the organizational and social phenomena of generational differences in police organiz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rm a discourse on the classification of generations of police officers who make up police organizations and to present the argument that various approaches to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personnel management are needed to improve job satisfaction by gener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it is somewhat unreasonable to classify generations based only on simple age and birth cohorts, and it may be difficult to conduct studies that demonstrate causal relationships or influencing factors. In addition, it was also confirmed that generation-related studies of police organizations can be conducted in various dimensions if they conduct generation studies based on the number of years of work and career path when classifying generations of police organization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찰공무원의 세대별 직무만족도 차이에 대한 연구: 세대 구분의 담론 형성을 중심으로
- ‘2021 자치경찰제도’에 관한 연구
- 해상에서 경찰관직무집행법 적용의 한계에 관한 고찰: 경직법 제3조 불심검문을 중심으로
- 스토킹 피해자 보호·지원 강화 방안
- 경찰의 자살대응 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경찰공무원의 직무소진이 사전적 경찰활동 감소에 미치는 영향
- CPTED 관련 조례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천안시 CPTED 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 스토킹범죄를 처리하는 경찰관들의 어려움: 면담조사를 중심으로
- 中韩犯罪嫌疑人辩护权利保护比较研究
- 언론 보도 및 소셜미디어 분석을 이용한 1인 가구 범죄의 사회적 인식연구
-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 부정정서가 사이버 비행에 미치는 영향
- 외국인의 폭력태도에 대한 차별경험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 육군병사의 성(性)적침해 인식이 인권교육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시큐리티 분야에서 드론 교육의 방향성 모색: 공통 기본교육을 중심으로
- 현행범 체포의 법적 요건에 관한 고찰: 가정폭력·스토킹 등의 피해자 보호를 목적으로
- 폭력적 극단주의 예방과 대응을 위한 한국 사례 모색: 아프간 특별기여자 국내 정착 과정을 중심으로
- 경찰공무원의 변혁적 리더십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LMX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자치경찰제도 운영에 있어 주민참여에 관한 논의: 광주광역시 주민 인식분석을 중심으로
- 보이스피싱의 실태 및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21 No.3 목차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전공심화 운영 방안: 글로벌 역량 강화와 지원
- 한국 폐경 여성의 이상지질혈증 예측을 위한 머신러닝 모델 비교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9기 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